- 영문명
- Determinants of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 2024 Community Health Surve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남종(Nam Jong Lee) 김진우(Jin Woo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251~26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인지 수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및 건강 행태적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보건교육 및 홍보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자는 총 227,66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성별, 연령, 소득, 교육, 직업 등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흡연, 음주, 주관적 건강 수준, 만성질환 진단 여부 등 건강행태 요인을 포함하였다.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5개 문항에 모두 ‘예’로 응답한 경우를 ‘인지’로 정의하고, 교차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의 51.8%만이 심근경색증의 주요 조기 증상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여성(OR=1.206), 65세 이상 연령층(OR=1.640), 고소득층(600만 원 이상 OR=1.240), 고학력자(대학교 이상 OR=2.009), 비흡연자(OR=1.140), 주관적 건강 인식이 긍정적인 집단(OR=1.334)일수록 인지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20~30대, 저소득・저학력층, 현재 흡연자, 당뇨병 진단자 등은 인지도가 낮은 취약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에 대한 국민 전체의 인지 수준 제고와 함께, 인지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세분된 건강교육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청년층, 고령층, 만성질환자,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기반의 표적화된 교육과 SNS 및 미디어를 통한 대국민 홍보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심혈관 응급상황에 대한 조기 인지와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져, 향후 사망률과 후유장애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early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mong Korean adult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 Using data from the 2024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27,668 respondents. Key variables included sex, age, income, education, occupation, smoking, alcohol us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 history. Awareness was defined as correctly identifying all five major symptoms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chi-square test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is. Overall, 51.8% of participants demonstrated full awareness of early symptoms. Higher aware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ing female (OR=1.206), aged ≥65 (OR=1.640), high-income (≥6 million KRW/month, OR=1.240), university-educated (OR=2.009), non-smokers (OR=1.140), and those with good perceived health (OR=1.334). In contrast, lower awareness was observed among younger adults,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and education levels, current smokers, and those diagnosed with diabet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argeted health education strategies to reduce disparities in symptom awareness. Community-based programs and media campaigns should focus on vulnerable groups, including young adults, older adults, and those with chronic conditions, to improve early recognition and timely response to cardiovascular emerg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