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Indiscriminate Circulation of Generative AI Images and Digital Safety Culture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Art Practitioner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수수(Sou Sou K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5호, 197~21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고도화와 이미지 중심 SNS 플랫폼의 확산으로 인해 회화 기반 예술 환경이 급격한 전환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인 예술 창작과 유통 방식에 본질적인 도전을 제기하며, 예술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AI와 저작권 이슈, 기술 수용 가능성 등에 집중해왔으나, 실제 예술 현장에서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와 실천적 대응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성형 AI 이미지 기술과 디지털 유통 구조가 회화 중심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실무자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생성형 AI 기술의 개요와 SNS 유통 환경에 관한 선행 문헌, 국내 통계 자료, 정책 보고서를 검토하였으며, 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2025) 및 통계청 설문조사자료(2025)를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수용 실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회화작가, 감정가, 미술 평론가 등 예술 실무자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생성형 이미지 확산에 따른 현장 인식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생성형 AI 이미지는 창작의 주체성 약화, 유통의 불투명성 심화, 감상의 진정성 훼손 등 다양한 층위의 위협을 수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저작권의 법적 공백, 플랫폼의 관리 부재, 수용자 측 감별력 저하가 핵심적인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실무자들은 AI 이미지에 대한 법적 정의 확립, 메타데이터 표기 의무화, 플랫폼 규제 강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제도화 등을 개선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도적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and the rise of image-centered SNS platforms have transformed the painting-based art environment. These changes challenge traditional practices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and affect the overall art ecosystem. Whil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copyright and technology adoption, few addressed structural or practical issues in real-world art contexts.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generative AI images and digital distribution on painting-centered art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tioners. The research involved a review of literature, statistical data, and policy reports related to generative AI and SNS-based image platform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2024 Internet Usage Survey and KOSIS data. In-depth interviews with painters, appraisers, and critics were also conducted to examine field perceptions of generative image expansion. Results showed weakened authorship, opaque distribution, and reduced authenticity in appreciation. Key problems included copyright gaps, lack of platform oversight, and diminished user discernment. Practitioners suggested legal definitions, mandatory metadata labeling, stronger regul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수(Sou Sou Kim). (2025).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197-210

MLA

김수수(Sou Sou Kim). "생성형 AI 이미지의 무분별한 유통과 디지털 안전 문화에 대한 연구 - 예술 실무자 관점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197-21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