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a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 Utilizing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오순생(Soon Saeng Oh) 황혜정(Hye Jeong Hwa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181~1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을 위한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경기도 의왕시 소재 W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개 학급을 편의 추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할당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18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 학급 대상으로 DBT 기술훈련 프로그램을 10주간 매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서조절 능력 및 자아존중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약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정서조절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을 위한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술훈련을 적용한 약물중독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제시하며, 그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ubstance abuse prevention program utilizing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skills training for early adolescent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participants’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ubstance use, as well as their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To test its effectiveness, two fifth-grade classes from W Elementary School in Uiwang-si, Gyeonggi-do,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 = 18) or a control group (n=17).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DBT skills training program, delivered once a week for 40 minutes over a period of 10 weeks (10 sessions in total).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using standardized scales measuring substance-related knowledge, attitudes, self-esteem, and emotional reg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assess program effec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ubstance-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motional reg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BT-based skills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preventing substance abuse among early adolescent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school-based prevention programs, as well as it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