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Motivat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인경(In Kyoung Kim) 박상욱(Sang Wook Par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159~16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국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21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 측정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 분석은 t-검정,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평균 점수는 199.82±19.41점, 학습동기 평균 점수는 93.39±13.22점, 학교생활적응 평균 점수는 106.37±15.61점이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학습동기,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전체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24.565, p<.001)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Adjusted R)는 39.1%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예측력이 확인되었다. 독립변수 중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학습동기이며 그 다음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멘토유무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높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중재가 필요하다. 특히, 대학 초기에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aptation. A total of 210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a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 learning motivation scale, and a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with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t-tests, analysis of varianc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mean score for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as 199.82±19.41, for learning motivation 93.39±13.22, and for college life adaptation 106.37±15.61.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motiv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4.565, p<.001), with an adjusted R² of 39.7%, indicating a moderate explanatory power for predicting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followed by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presence of a mentor.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enhan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particular, tailored counseling and mentor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support students facing academic difficultie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university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