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in Digital-Based Safety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Korea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고희윤(Hee Yoon Ko)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5호, 115~12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안전교육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성과 등 세 가지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도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구성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수렴 및 판별 타당도도 검증되었으며, 각 변인의 신뢰도(Cronbach’s α)는 모두 .90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분석은 SPSS 26.0, AMOS 23.0,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는 학습성과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동기는 학습몰입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고, 학습몰입은 학습동기와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의 안전교육에서 학습자의 내적 동기와 몰입 수준을 고려한 교육설계가 학습성과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하며, 향후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시 이러한 부분의 반영 필요성을 확립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on learning outcomes in a digital safety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i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74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focusing on three main 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ts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so verified,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for all variables were above .90, indicating high reliabil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MOS 23.0, and PROCESS Macro 4.2,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ing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utcomes, learning mot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sidering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leve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learning outcomes in digital safety education, and emphasize the need to incorporate such aspects into future safety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희윤(Hee Yoon Ko). (2025).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115-128

MLA

고희윤(Hee Yoon Ko). "국내 대학교 디지털 기반 안전교육에서 학습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115-12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