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isk Management Human Error Factors For Efficient Crisis Response Strategies Of Security Organizations - Focusing On Risk Avoidance And Risk Control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상진(Sang Ji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89~11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호 현장에서 리스크 회피(Risk Avoidance) 및 리스크 통제(Risk Control) 활동을 방해하는 휴먼에러 요인을 실증적・환경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호조직의 리스크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다. 기존의 장비・기법 중심의 경호 이론에서 벗어나 인지적・조직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경호학의 실무 적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는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첫째,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경호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험적 차원에서 휴먼에러 유발 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경호 실패사례 6건을 VTA 및 Why-Why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환경적 맥락에서의 휴먼팩터를 규명하였다. 셋째, 실증 조사와 사례분석을 교차 비교하고, 근거 이론적 분석(GTM)을 통해 인과조건, 맥락조건, 중재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구조화하였다. 그 결과, 리스크 회피 활동에서는 ‘현장답사 부족’, ‘예산 및 인력 부족’, ‘무사안일한 태도’, ‘책임분배 미흡’이 주요 휴먼팩터로 확인되었고, 리스크 통제 활동에서는 ‘개인 역량 부족’, ‘외부 협조 결여’, ‘지휘체계의 모호성’ 등이 핵심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호원의 컨디션, 위기의식, 책임 구조 등의 개인 및 조직 요인이 리스크 대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경호 현장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를 인간 중심의 시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실질적인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하였다. 인간공학과 경호학의 융합적 접근을 통해 실무 활용도가 높은 위기관리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경호 교리 발전 및 리스크 기반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Human Factors that hinder Risk Avoidance and Risk Control activities in the field of Security, from both empir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The ultimate goal is to establish a strategic foundation to enhance the Risk Management capabilities of Security organizations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equipment- and technique-centered approach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ree main approaches. First,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field Security personnel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to empirically identify Human Factor-related causes affecting Risk Avoidance and Risk Control. Second, six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urity failure cases were analyzed using ergonomics-based methods such as Variation Tree Analysis (VTA) and the Why-Why technique to uncover Human Factors within environmental contexts. Third, empirical findings and case analyses were cross-compared, an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to structure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factors, intervening condition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Risk Avoidance activities, major Human Factors included lack of site reconnaissance, insufficient budget and professional personnel, complacency, and inadequate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ies. In Risk Control activities, key issues were lack of individual response capabilities, absence of external cooperation, and unclear command structures. Notably, the personal condition of Security personnel, their sense of crisis, and the internal responsibility 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isk Management effect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a Human Factor-centered reinterpretation of risks in Security operations, providing actionable strategies for crisis response. By integrating ergonomics with Security studies, it delivers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risk at both cognitive and organizational level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Security doctrines an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isk Management-oriented Security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연구의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