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Workers' Unsafe Behavior at Construction Sit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Drone-Based Educatio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호섭(Ho Seop Kim) 박종용(Jong Yong Park) 김성우(Sung Woo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5호, 61~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발행하는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휴먼에러, 위반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드론을 활용한 안전보건교육의 효과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기초안전보건교육,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 신규채용자교육은 이론 위주의 전달 방식에 한정되어 있어 근로자의 실제 행동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드론 기반의 시각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교육 방식을 기존 교육에 접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수도권 소재 건설현장에서 근무 중인 근로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JAMOVI 2.6.2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는 교육 유형별 드론 활용 여부, 종속변수는 불안전한 행동(휴먼에러 및 위반행동), 조절변수는 드론 교육이었다. 분석을 통해 교육 방식과 드론 적용 여부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TBM 교육과 신규채용자교육에 드론을 병행할 경우 불안전한 행동 감소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휴먼에러와 위반행동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반면, 기초안전보건교육과 드론의 조합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드론 교육의 효과가 현장 밀착형 실무 교육일수록 더욱 극대화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드론 기반 교육이 건설현장에서의 행동기반 안전교육을 보완하는 실용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디지털 교육콘텐츠 개발 및 산업재해 예방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 유형별 맞춤형 전략 수립의 필요성과 드론 기술의 실무 교육 적용 확장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drone-base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reducing unsafe behavior—specifically human error and violation—among construction workers. Traditional training methods such as basic safety education, TBM, and new employee training are limited in effectiveness due to their theoretical delivery. To address this, the study applied visual, field-centered drone education to existing programs and examined its impact. A survey of 300 construction work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JAMOVI 2.6.26 program through moderation analys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education types with or without drone application, the dependent variable was unsafe behavior,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as drone education.Results showed that drone-assisted TBM and new employee training significantly reduced unsafe behaviors. However, combining drones with basic safety education did not yield significant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rone education is most effective when aligned with practical, site-based training. The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drones as supplementary tools in behavioral safety education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digital content development in construction safe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