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ypologies and Sustainability of Public Furniture in Seoul’s Waterfront Spaces : The Case of Bulgwangcheon Stream
발행기관
한국가구학회
저자명
박신영(Shin young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가구학회 학술대회자료집』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집, 7~1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ility of public furniture in Seoul’s waterfront spac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Bulgwangcheon Stream as a representative neighborhood stream. Unlike large-scale waterfronts suchas Cheonggyecheon Stream and Hangang River Park, Bulgwangcheon reflects daily use patterns of local residents, making it a valuable case for understanding the design and performance of small-scale urban riverside furniture.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o analyze seating types, arrangements, materials, and user experiences. The findings reveal that Bulgwangcheon’s seating is mainly simple and functional, arranged linearly along walking and cycling paths, often oriented toward the stream for landscape appreciation. However, issues such as lack of backrests, weathering, and insufficient shading reduce long-term usability. By comparison, Cheonggyecheon stream emphasizes tourist-oriented design with aesthetic and experiential value but provides limited comfort for extended stays. Hangang River Park, as a metropolitan leisure space, offers the greatest diversity of seating types and shading facilities, though some structures suffer from maintenance challenges. Based on these comparis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ulgwangcheon’s improvement should prioritize its identity as a neighborhood stream while selectively incorporating Cheonggyecheon’s landscape-focused placements and Hangang Park’s shading and multipurpose facilities. Such an approach can enhance both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contributing to resilient and user-friendly riverside environments in Seoul.

영문 초록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수변공간의 공공가구 분석
4.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신영(Shin young Park). (2025).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5 (8), 7-13

MLA

박신영(Shin young Park).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5.8(2025): 7-1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