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a Convergence Design Thinking Program Using Farmbot : Agricultural ICT and Autom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Context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현주(Hyun Joo Kim)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제28권 제1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팜봇(Farmbot)을 활용하여 농생명 ICT와 디자인 씽킹을 융합한 초등학생 대상 미래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학생 중심의 문제 해결, 기술과 창의성을 통합한 실습 활동, 반복적 피드백을 포함한 디자인씽킹 단계(공감, 정의,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테스트, 공유)를 기반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60명, 학부모 17명, 강사 3명이며, 사전-사후 설문지와 만족도 평가, 강사 및 학부모 피드백을 종합하여 효과성을 정량 및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량 분석 결과, 자기 효능감, 기술 도구 활용 자신감, 창의적 문제 해결력 등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p<.001), 강사와 학부모의 정성적 평가 또한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융합 디자인씽킹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역량과 미래 인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valuate a future-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integrates agricultural ICT and design thinking using Farmbot.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the phases of design thinking—empathize, define, ideate, prototype, test, and share—emphasizing student-centered problem solving, hands-on activities combining technology and creativity, and iterative feedback. The participants included 60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17 parents, and 3 instructors. A combination of pre- and post-program surveys, satisfaction evaluations, and qualitative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parent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program’s effectivenes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p < .001) in students' self-efficacy, confidence in using technological tool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Qualitative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parents also reflected positive percep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vergence design thinking education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can enhance elementary students’ creative competencies and future-oriented awarenes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프로그램 설계와 적용
4. 프로그램 평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