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용수 9

영문명
Storytelling Techniques in Food Documentaries in the Short-Form Era: Focusing on Short-Form Contents of A Bite of China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증신(Chen Zeng) 조건(Jian Zhao) 김영주(Yung-ju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371~39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편 음식 다큐멘터리인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이 숏폼 콘텐츠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전통적 서사 구조와 시청각적 표현이 숏폼 환경에서 어떻게 유지되거나 변화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작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 기법(서사 구조, 서사 스타일, 서사 기호)을 분석하고, 더우인(抖音)에서 숏폼 콘텐츠로의 전환 양상을 고찰하였으며, 시청자 인터뷰를 통해 수용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정성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민족 정체성과 지역성, 감성적 몰입 유도 방식은 숏폼에서도 유지되는 반면, 서사는 압축적으로 재구성되고 감정 중심의 표현과 시각적 리듬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플랫폼 알고리즘은 서사의 비선형화와 선택적 집중을 유도하며, 시청자들은 서사적 통합, 지역 및 민족 정체성 인식, 미학적 영상미, 정서적 공감, 그리고 철학적 성찰을 통해 음식 다큐멘터리의 감성적, 심미적 가능성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숏폼 시대에 적합한 음식 다큐멘터리의 스토리텔링 전략, 알고리즘 환경에 대한 적응, 수용자 중심의 문화 정체성 형성 전략, 그리고 콘텐츠의 실천적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he feature-length food documentary A Bite of China is reconfigured into short-form content on Douyin. By analyzing the documentary's original and short-form storytelling techniques(structure, style, symbols)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viewers, the study examines how traditional storytelling adapts to short-form formats. Findings show that while ethnic identity, locality, and emotional engagement are largely retained, the narrative becomes more compressed and emotion-driven, with enhanced visual rhythms. Algorithmic influences lead to non-linear storytelling and selective focus. Viewers respond by deepening their emotional and aesthetic engagement with food content, recognizing cultural identity and engaging in philosophical reflection. The study suggests strategies for storytelling, algorithm adaptation, and audience-centered identity building in the short-form era.

목차

1. 서론
2. 음식 다큐멘터리로써의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3. 숏폼 콘텐츠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4. 시청자 시각에서의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글로벌문화콘텐츠
  • 콘텐츠문화연구
  • Journal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Research
  • 中國電視
  • 視聽
  • Proceedings of the 2022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 영화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西部廣播電視
  • 山西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
  • 當代電視
  • 大觀(論壇)
  • 成都大學學報(社會科學版)
  • 傳媒觀察
  • 中國電視
  • 新聞傳播
  • 電影文學
  • 高校圖書館工作
  • 采寫編
  • 文學藝術周刊
  • 地理與地理信息科學
  • 杭州電子科技大學學報(社會科學版)
  • 視聽
  • 東南傳播
  • 中國電視
  • Journal of Informatics Education and Research
  • Beijing Review
  • International Journal of Home Economics
  • Critical Arts
  • Stream: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Communication
  • Proceedings of the 2022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 China Perspectives
  • Quarterly Review of Film and Video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증신(Chen Zeng),조건(Jian Zhao),김영주(Yung-ju Kim). (2025).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 371-396

MLA

증신(Chen Zeng),조건(Jian Zhao),김영주(Yung-ju Kim). "숏폼시대, 음식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혀끝으로 만나는 중국(舌尖上的中國)>의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025): 371-39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