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imation “Suzume's Locking Up” as a Road Movie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전범수(Bum Soo Ch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345~3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로드 무비로서 일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의 장르 구조와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니메이션 <스즈메의 문단속>에 포함된 서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공간 이동 동기와 갈등 구조, 갈등 해결의 과정을 분석했다. 서사에 포함된 갈등 구조는 과거의 스즈메가 끊임없이 현재의 스즈메를 괴롭히는 자아 갈등으로 나타났다. 스즈메가 자신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은 일본 각지의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폐허로의 여정을 통해 지진을 막는 행동으로 연결된다. 둘째, <스즈메의 문단속>에 나타난 관습은 여행지의 공간성, 타자의 형상화, 돌발 상황 등으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여행지의 공간성은 일본 각 지역의 폐허들이자 사람들에게 잊힌 재난의 공간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스즈메는 현실에서는 재난을 경험했던 그러나 서사에서는 재난이 예상되는 폐허 공간을 찾아 일본전역을 이동했다. 다음,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타자는 대부분 스즈메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 타자라기 보다는 같은 공동체 구성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서는 여러 돌발 상황이 등장했다. 가령, 남자 주인공 캐릭터로 나오는 소타가 마법에 걸려 의자로 변하거나 고양이 다이진이 사람과 말을 할 수 있다거나 또는 최종 목적지로 가는 과정에 자동차가 고장이나 나서 자전거를 타고 이동하는 장면 등이 포함된다. 셋째, 캐릭터를 살펴보면 스즈메는 여자 고등학생으로 1인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스즈메와 같이 계속 여정을 같이 하는 소타를 포함하게 되면 주인공은 2인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가족이라고는 이모뿐이다. 불완전한 가족 관계는 로드 무비의 전형적인 특성이다. 넷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스마트폰으로 현실 세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이동 수단은 선박, 열차, 고속열차, 자전거, 자동차 등 다양하게 등장했다. 오리엔테이션 장치는 스즈메가 긴 여정을 이동하는 동선을 알려주는 장치로 다이진이 이동 방향을 하나하나 알려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애니메이션은 전형적인 로드 무비의 구조를 가지며 현실 및 비현실적 공간이 결합하는 신화적 서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imation “Suzume's Locking Up” as a road movie gen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within the animation were analyzed through travel motivation, conflict structure, and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he internal conflict structure appeared as the past Suzume constantly torments the present Suzume. Suzume resolves this internal conflict by traveling to various abandoned places in Japan to prevent earthquakes. Secondly, conventions in the animation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spatiality of travel destinations, the embodiment of others, and sudden events. Spatiality is shown by Suzume recognizing spaces through TV weather forecasts or traffic signs while traveling across Japan. The embodiment of others is revealed when Suzume searches for her destination on her smartphone map, indicating she is a stranger in new spaces. Sudden events include the male protagonist character Sohta turning into a chair due to magic, the cat Dainji being able to speak, or Suzume having to switch to a bicycle because her car breaks down on the way to the final destination. Thirdly, examining the characters reveals that Suzume appears as a female high school student and the sole protagonist. She only has an aunt as family, which reflects a common characteristic of incomplete family relationships in road movies. Finally, communication tools in the animation reflect real-world characteristics with smartphones.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ships, trains, bullet trains, bicycles, and cars, are also depicted. Orientation devices, like Dainji guiding Suzume's journey step by step, help her navigate her long journey. This animation showcases typical road movie structures and unfolds as a mythological narrative combining real and virtual spaces. This animation, therefore, adheres to the classic road movie framework while integrating elements of reality and fantasy, creating a unique blend of mythological storytell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및 연구 문제
3. 서사, 관습, 캐릭터 특성, 도상 분석 결과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비교 일본학
- 아시아영화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일본연구
- 한국방송학보
- 日本文化學報
- 씨네포럼
- 부경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커뮤니케이션북스
- 영화연구
- 영화연구
- 인문콘텐츠
- 비교문화연구
- 영상기술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 인문과학연구논총
- 한국방송학보
- 겨레어문학
- 영화연구
- 영화연구
- Quarterly Review of Film Stud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