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dvent of the OTT Era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Film’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임대근(Great Root Woods)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325~3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OTT(Over the Top) 플랫폼 시대에서 ‘영화’ 개념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OTT 플랫폼, 특히 넷플릭스와 같은 서비스의 확산은 영화와 TV 드라마 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특히 필름, 스크린, 관객을 필요조건으로 하는 전통적 영화 개념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이 연구는 OTT의 정의와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OTT가 문화콘텐츠 유통에서 디지털화와 개인화된 소비 경험을 이끄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주장한다. 광고형, 구독형, 거래형, 절충형의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및 OTT 플랫폼이 영화와 TV 드라마 유통 방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OTT의 부상은 영화 개념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세 가지 측면을 제시한다. 첫째, 영화의 역사적 맥락을 통해 OTT가 영화의 필요조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다시 검토한다. 둘째, OTT가 포괄하는 ‘드라마’ 개념을 재정립하여 영화와 TV 드라마가 매체와 장르의 관계로 이해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셋째, 단일 회차로 구성되는 영화와 다중 회차로 구성되는 시리즈 콘텐츠의 경계가 OTT 환경에서 무너지고 있음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OTT 플랫폼의 부상은 영화의 정체성, 제작, 유통, 소비 방식을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했으며, 이에 따라 영화의 본질과 정체성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콘텐츠 환경에 맞춰 영화학, 미디어 연구, 콘텐츠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인 논의와 토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cept of “film” in the era of OTT (Over-the-Top) platforms.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OTT platforms, particularly services like Netflix, have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films and TV dramas. This shift fundamentally challenges the traditional notion of film, which historically required film reels, a screen, and an audience. B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types of OTT, this study argues that OTT is an inevitable phenomenon driving digitalization and personalized consumption in cultural content distribution. It analyzes various service models, such as advertising-based, subscription-based, transactional, and hybrid models, as well as the impact of OTT platforms on the distribution methods for films and TV dramas. The rise of OTT plays a critical role in redefining the concept of film, addressed here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it reexamines how OTT has transformed the traditional prerequisites of film within a historical context. Second, it proposes a redefinition of the concept of “drama” to encompass both films and TV dramas as media-genre relations. Third, it considers how the boundaries between single-episode films and multi-episode series have collapsed in the OTT environment. In conclusion, the rise of OTT platforms has fundamentally altered the identit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ilms, indicating a need to redefine the essence and identity of film.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ongoing discourse and debate in the fields of film studies, media studies, and content studies to address these changes in the evolving content landscape.
목차
1. 머리말
2. OTT 시대의 도래
3. ‘영화’ 개념의 필요조건
4. ‘영화’ 개념에 관한 토론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