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 of Authenticity in AI-Based Virtual Idols: The Combined Absence of Mythos and Logos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오윤지(Yoon-Ji Oh)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251~2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간 기반 버추얼 아이돌에게는 있고,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에게는 없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그 차이를 단순한 실재성이나 정서적 교감의 유무가 아니라, 로고스(logos)와 뮈토스(mythos)의 층위에서 진정성이 구성되는 방식의 차이에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Pop 아이돌 팬덤의 형성과 향유 양상을 로고스와 뮈토스를 기준으로 하여 ‘팬덤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그 후 도출된 팬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인간 기반 버추얼아이돌 ‘플레이브(PLAVE)’와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 ‘메이브(MAVE:)’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인터넷 민속지학 방법론을바탕으로, 양 아이돌의 공식 채널(X와 유튜브)에서 나타난 온·오프라인 활동과 콘텐츠 댓글을 분석하여 팬덤의 반응과 인식을 추적하였다.
연구 결과,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은 기술적 완성도와 기획의 정교함으로 초기 주목을 받으나, 팬덤 감정 이입의 기반이자 엔터테인먼트의 로고스 전략과 상호작용하는 ‘뮈토스의 부재’가 이들의 몰입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뮈토스 층위의 부재는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에 대한 팬덤 형성을 ‘정보 소비’ 수준에 머무르게 만든다. 이는 단순히 ‘재미’나 ‘호기심’의 대상이 될 수는 있어도, 그것이 팬심으로 깊이 전이되기 위한 신화적 구조(동일시, 숭배, 헌신)로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본고는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글로벌 접근성과 국경 초월성은 새로운 문화콘텐츠 장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팬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AI만의 독자적 존재론’, ‘감정 교감 방식’, ‘참여형 내러티브 전략’의 수립이 필수적임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following question: What qualities do human-based virtual idols possess that AI-based virtual idols lack? Rather than attributing the difference merely to physical presence or emotional resonance, this research seeks to uncover how the notion of authenticity is constructed differently within the frameworks of logos and mythos. To this end, the study proposes a “fandom framework” for analyzing the formation and enjoyment patterns of K-Pop idol fandoms through the dual lens of logos and mythos. This framework is then applied to a comparative analysis of PLAVE, a human-based virtual idol group, and MAVE:, an AI-based virtual idol group. Using digital ethnographic methods, the study investigates the fandom perceptions and reactions by analyzing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and user comments from official channels (X and YouTube) between January and June 2025.
The findings reveal that while AI-based virtual idols initially attract attention due to their technical sophistication and elaborate planning, the absence of mythos, which underlies emotional immersion and interacts with logos driven entertainment strategies, emerges as a key barrier to deeper fandom engagement. This absence relegates AI-based idols to mere objects of information consumption, limiting their reception to curiosity or entertainment rather than emotional investment. Without the mythic structures of identification, idealization, and devotion, these idols struggle to generate genuine fandom. Moreover, while AI-based virtual idols demonstrate a global reach and transnational potential as a new genre of cultural content, this paper argues that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fandom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n AI-specific ontology, emotional resonance mechanisms, and participatory narrative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아이돌 팬덤의 작동 메커니즘
3.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의 진정성 문제: 뮈토스/로고스의 복합적 부재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