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Emotional Reception Structure of Japanese Hot Spring and Bath Culture Contents: Focusing on Japanese Generation Z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대범(Dae-Beom Kim)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121~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 Z세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천·목욕문화 콘텐츠에 나타난 정서적 표현 양상이 수용자의 정서적 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온천·목욕문화는 단순한 전통 재현을 넘어 젊은 세대의 감정 경험과 결합된 콘텐츠로 재구성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정량적 방식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본 수도권 소재 3개 대학 재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요인분석, t-검정, ANOVA, 회귀분석을 통해 콘텐츠 내 정서적 표현 요소와 수용 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치유 공간’, ‘일상성’, ‘전통· 지역성’, ‘가족·공동체 연대 강조’ 네 가지 요인이 모두 정서적 수용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유성과 일상성이 Z세대의 감정적 몰입을 유도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콘텐츠 기반 전통문화가 감성적 서사를 통해 젊은 세대에게 어떻게 새롭게 의미화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며, 향후 소비 행태나 디지털 실천 등 정서 이후의 수용 구조를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the emotional expressions depicted in onsen and bath culture content influence the emotional receptivity of Generation Z university students in Japan. As traditional bathing culture is being recontextualized into emotionally resonant content for younger audienc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is transformation through a quantitative approach.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12 students enrolled at three universitie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Using factor analysis, t-test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identified four key emotional expression factors—emotional healing space, everydayness, tradition/local identity, and family/community solidarity—all of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d emotional receptivity. Among these, healing and everydaynes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actful in generating emotional engagement among Generation Z.
Th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traditional culture-based content is being newly internalized through emotional narratives among younger generations. This study also lays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o explore the broader reception structure, including consumption behavior and digital practices, beyond emotional respon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조사 설계 및 분석 결과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