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unitive Antihero in “A Killer Paradox”: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ebtoon and Drama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규연(Kyu-Yeon Kim) 이명현(Myeoung-Hyun Lee)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4호, 7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네이버웹툰 <살인자ㅇ난감>(2010)과 이를 원작으로 한 넷플릭스 드라마 <살인자ㅇ난감>(2024)을 대상으로, 범죄자만을 처단하는 단죄형 반영웅서사의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인공 이탕이 연루된 살인사건들을사건 당시 상황, 살인의 내적 근거, 살인 양상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더불어 이탕을 둘러싼 주변 인물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웹툰과 드라마 모두 단죄형 반영웅을 다루지만 그 구현 방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단죄형 반영웅은 시민의 안전을 명분으로 범죄를 합리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범죄자 식별’은 필연적으로 핵심 문제가 된다. 웹툰에서 이탕은 사람을 살해한 뒤 그가 실은 죽어 마땅한 범죄자라는 것을 드러내는 인물로, 범죄자 식별의 인과성을 전복적으로 제시한다. 반면 드라마는 소름과 같은 신체적 징후를 통해 범죄자를 식별하는 능력을 부여함으로써 이탕을 전형적인 반영웅처럼 재현한다.
또한 이탕에 대한 주변 인물들의 태도도 매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반영웅이 공동체 내부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승인받게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웹툰에서 노빈, 장난감, 송촌은 부친으로 상징되는 규범적 권위에 배반당하는 경험을 하면서 미덕으로 여겨지던 사회적 가치들을 부정하게 된다. 이들은 무너진 부권을 조롱하듯이 공백을 채우고 논리적 비약을 통해 정의라는 환상을 보여준 이탕을 마주하며 혼란에 빠진다. 반면 드라마에서 노빈, 장난감, 송촌은 웹툰과 달리 사회적 미덕을 지키면 꿈꾸어 왔던 정의가 달성될 거라는 환상이 훼손당하지 않아 기존 질서의 대안으로 상징되는 이탕을 마주했을 때 혼란을 겪지 않는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웹툰이 반영웅을 통해 경계를 해체하고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반면, 드라마는 윤리에 귀속된 정의의 환원을 강조하는 전형적 반영웅 모델을 제시함을 밝혔다. 이는 매체별로 유효한 반영웅 모델의 조건을 탐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unitive anti-hero narrative, which punishes only criminals, focusing on the Naver Webtoon A Killer Paradox (2010) and its Netflix drama adaptation of the same title (2024). To this end, the study compares the murder cases involving the protagonist, Lee Tang,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 situational context, the internal rationale, and the manner of the killings, while also examining the chang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toward him.
The analysis reveals that although both the webtoon and the drama depict the punitive anti-hero, their narrative strategies diverge significantly. Typically, the punitive anti-hero justifies personal crimes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ng citizens’ safety, which makes the “identification of criminals” an inevitable narrative issue. In the webtoon, Lee Tang is portrayed not as one who kills after identifying criminals deserving of death, but as a figure who reveals the victim’s culpability after the killing—thus subverting the causal logic of criminal identification. Conversely, the drama reconstructs Lee Tang as a more conventional anti-hero by endowing him with a transcendental ability to recognize criminals through bodily signs such as goosebumps.
The responses of surrounding characters to Lee Tang also differ across media, providing insight into how anti-heroes are granted legitimacy within the community. In the webtoon, characters such as Noh Bin, Jang Nan-gam, and Song Chon undergo betrayal by paternal or paternal-like authority figures, which leads them to repudiate the social values once regarded as virtues. Encountering Lee Tang—who fills the void left by collapsed paternal authority and exposes justice as an illusion through logical leaps—they fall into confusion. In contrast, the drama depicts these characters as relatively stable, as their belief that justice can be achieved by upholding social virtues remains unshaken. Consequently, when faced with Lee Tang, who symbolize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order, they do not experience comparable disorientation.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while the webtoon presents the anti-hero as a figure that dismantles boundaries and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justice,” the drama emphasizes a conventional anti-hero model that ultimately reduces conflicts to a justice firmly bound to ethics. By identifying these two distinct modes of the punitive anti-hero, the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for explor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different anti-hero models become valid across media.
목차
1. 서론
2. 이탕의 능력 및 살인 동기에 대한 비교
3. 이탕에 대한 주변인의 승인 양상
4. 단죄형 반영웅의 두 가지 양상과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