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서동훈(Donghun Seo) 윤석화(Seokhwa Yun) 이지혜(Jihye Lee)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3권, 99~1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성과 모니터링은 효과적인 감독의 핵심 요소이지만, 과도한 모니터링(즉, 리더의 밀착 감시 행동)은 의도치 않은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 이론과 리더 행동 연구를 통합하여, 리더의 밀착 감시 행동이 구성원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과업 수행이 저해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한국의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160명의 리더-구성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리더의 밀착 감시 행동은 특정한 경계조건에서만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킴으로써 과업 수행을 간접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높은 성과의 리더일수록 밀착 감시 행동이 구성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신뢰받는 평가자가 더 강한 사회적 설득 효과를 갖는다는 이론과 일치한다. 둘째, 예측과는 달리, 사회적 비교 성향이 낮은 구성원에게서 밀착 감시 행동의 부(-)의 영향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밀착 감시가 이들에게 유일하고 두드러진 평가 신호로 작용했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밀착 감시가 작동하는 관계적·지각적 메커니즘을 조명하고, 이러한 부작용을 관리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erformance monitoring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effective supervision yet excessive monitoring referred to as supervisor close monitoring can have unintended negative consequences. Integrating social cognitive theory, we examine how supervisor close monitoring undermines subordinate general self-efficacy, thereby impairing subordinate task performance. Using dyadic supervisor-subordinate data from 160 South Korean supervisors working across diverse firms, we find that supervisor close monitoring is indirectly related to lower task performance via reduced general self-efficacy only under certain boundary conditions. Specifically, we identify two boundary conditions that shape this effect. The negative impact of close monitoring on general self-efficacy was salient when supervisors were perceived as high performers,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credible evaluators heighten social persuasion.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detrimental effect was also salient among subordinates low i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or whom close monitoring may serve as the only salient evaluative cue.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relational dynamics through which close monitoring operates and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ing its unintended effec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and Hypotheses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