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lication and Experience of a Single-Session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Emotion-Focused Coping for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reliminary Explor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 저자명
- 강예슬(Ye-seul Kang) 김수지(Soo Ji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제22권 제2호,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감정 중심 대처 전략에 기반한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경험과 적용 가능성을 예비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소재 장애인종합복지관 및 한국장애인부모회의 협조를 통해 모집된 부모 30명이며, 6개 그룹으로 나누어 90분간 단회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은 Lazarus & Folkman(1984)의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 중 감정 중심 대처 전략을 바탕으로 도입, 준비, 전개, 종결의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에서 정서 점검, 감정 탐색과 인식, 긍정 정서 촉진, 대처 전략 제공, 행동 변화 촉진을 포함하였다. 돌봄 스트레스 척도(RSS) 결과, 돌봄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t=4.03, p<.001), 녹음ㆍ전사 자료와 관찰 기록 분석에서는 정서적 지지, 자기 성찰, 감정 표현과 해소의 경험이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평가지에서는 90%의 부모가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긍정적으로 보고하였으며, ‘정서적 해소’와 ‘심리적 안정’이 주요 변화로 언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회기 음악치료가 부모의 정서 안정과 자기 이해 향상에 기여할 가능성을 지니며, 후속 연구와 현장 적용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liminaril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applicability of a single-session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for parents of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ty parents were recruited through disabil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Korea Association of Parents with Disabilities, and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o participate in a 90-minute single-session program. The program was structured according to Lazarus and Folkman’s (1984) stress appraisal-coping model, focusing on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consisted of four stages (introduction, preparation, development, and conclusion). Each stage included activities such as emotional check-in, emotional exploration and awareness, promotion of positive emotions, provision of coping strategies, and facilitation of behavioral change. Results from the Relief Stress Scale (R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caregiving stress (t = 4.03, p < .001). Analysis of recordings, transcriptions, and observational notes indicated experiences of emotional support, self-reflec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nd release. In addition, program evaluations revealed that 90% of parents reported stress reduction, with ‘emotional releas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eing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chang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ingle-session music therapy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emotional stability and self-understanding among parents, providing preliminary evide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ield ap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