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oving in-game user-NPC interaction through prompt engineering u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장우성(Woosung Jang) 서채연(Chaeyun Seo) 전병국(Byung Kook Jeon) 김영철(Young Chul Kim)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8호, 110~11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29
국문 초록
현재 메타버스 산업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비대면 생활 방식의 확산으로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 게임에서 사용자와 NPC 간 상호작용은 정해진 문장만 답변하는 기존의 일반 게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사용자가 메타버스 게임에 몰입하기 어려운 조건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메타버스 게임의 몰입을 위한 사용자와 NPC 간 상호작용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인간의 대인 관계 유형을 분석하고, 이것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에 적용하여 생성형 AI에게 학습시킨다. 학습된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NPC가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대화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람과 대화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NPC 역할의 생성형 AI가 자신의 컨셉을 확실하게 인지하고, 환각 현상을 최대한 줄임으로써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metaverse industry is experiencing a rapid increase in dem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lifestyles. However, users do not see much difference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non-player characters(NPCs) and users in metaverse games and existing general gam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immerse themselves. We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NPCs to enhance immersion in metaverse games. This method analyzes real-world human interpersonal patterns and applies prompt engineering techniques to train generative AI. Users can naturally converse with NPCs based on the trained generative AI, providing an experience similar to that of a real person. This method clearly defines the NPC concept for generative AI and minimizes illusions,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NPCs can naturally engage users in conversation.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제안한 연구
Ⅳ. 실험 환경
Ⅴ. 실험 및 결과
Ⅵ. 결론 및 향후 연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