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랑스어권 언어 및 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와 한국 속담의 어휘문화에 대한 상호문화적 연구 - 동물, 음식, 사물 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Étude interculturelle sur la « lexiculture » des proverbes d’Afrique de l’Ouest francophone et de Corée pour le développement des compétences linguistiques et culturelles en français - Analyse centrée sur les proverbes liés aux animaux, à la nourriture et aux objets
- 발행기관
- 프랑스학회
- 저자명
- 김은정(En-Jung KIM)
- 간행물 정보
- 『프랑스학연구』제108권,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프랑스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프랑스어권 언어 및 문화 능력 함양을 위해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와 한국 속담에 나타난 동물, 음식, 사물 관련 어휘문화를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비교ㆍ분석하고, 이를 목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초연결성 확산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프랑스어 교육도 프랑스에 국한되지 않고 프랑스어권 전체를 포괄하는 방향으로의 확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프랑스어 교육에서는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에 대한 연구와 교육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프랑스어권 서아프리카 속담의 어휘문화를 목록화함으로써 해당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프랑스어 교육의 범위를 확장하고, 교육 자료 개발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학습자들이 프랑스 중심의 시각을 넘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포괄하는 프랑스어권 문화를 탐구하도록 돕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À l’ère de l’hyperconnectivité, la compréhension de langues et de cultures diverses constitue un enjeu essentiel. L’enseignement du français, dans ce contexte, ne saurait se limiter à l’Hexagone et doit intégrer l’ensemble du monde francophone. Or, en Corée, les recherches consacrées à l’Afrique francophone demeurent rares.
La présente étude répond à cette lacune et vise à analyser, dans une perspective interculturelle, la « lexiculture » des proverbes d’Afrique de l’Ouest francophone et de Corée liés aux animaux, à la nourriture et aux objets. Ces proverbes, reflets de la vie quotidienne et des valeurs culturelles, ont été mis en parallèle avec leurs équivalents coréens sémantiquement proches, afin de faciliter la compréhension des références ouest-africaines et d’enrichir les compétences linguistiques et culturelles en français des apprenants coréens.
En répertoriant ces corpus de manière structurée, la recherche fournit une ressource précieuse pour l’élaboration de programmes éducatifs. Elle ouvre la voie à une approche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plus inclusive, qui encourage les apprenants à explorer la diversité francophone au-delà de la Franc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나오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