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s of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황찬주(Chan-Ju Hwang) 이상민(Sang-Min Lee) 장기은(Gi-Eun Jang)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와 마음 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자기자비, 마음챙김을 측정하였고, 36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R 4.3.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불안, 자기자비, 마음챙김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이 각각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를 부분 매개했으며 추가적 검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 했다.
결론 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자기자비와 마음챙김을 증진하는 전략이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administered to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South Korea. The survey measured levels of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anxiety,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and 366 cas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R version 4.3.1.
Result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all variables. Second, the analysis confirm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dditional testing of the indirect effect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 counseling and therapeutic contexts aimed at enhancing self-compassion and mindfulness to reduce both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