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signing a Korean Oral Assessment based on the IBDP Language and Literature IO Framework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배설화(Seolhwa Bae) 최숙기(Sookki Choi)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3집, 25~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문학>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IBDP <언어와 문학>의 구술 평가(IO) 구조를 국내 고등학교 국어 수업에 맞게 적용한 수행 중심 평가 과제를 설계하고, 그 실천 가능성과 교육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IO의 절차와 요소를 분석하고 성취기준과 연계하여 네 가지 평가 범주(작품 이해, 사회적 맥락 확장, 발표 구성, 자기성찰)로 재구성한 뒤, 12차시 교수·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과정 중심 수행평가 체제를 마련하였다. 전문가 검토 결과, 평가 체제의 정합성·실현 가능성·교육적 효과성이 확인되었으며, ‘국제적 이슈’ 개념의 정비, 고정 주제 병행, 발췌문 선정 기준 보완 등으로 설계를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IO의 철학을 국내 교육과정에 정합적으로 재구성한 실천 사례로서, 국어교육의 구술 수행 평가 체제 정립에 기여하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performance-oriented oral assessment task by adapting the Individual Oral(IO)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 to the context of high school literature instruction withi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IO’s procedures and components were analyzed and restructured into four evaluation domains—textual understanding, expansion into social contexts, presentation structure and delivery, and reflective engagement—based on alignment with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A 12-lesson instructional sequence was developed to establish a process-based assessment framework. Expert validation confirmed the alignment, feasibility, and educational value of the proposed model, leading to refinements such as the clarification of the “global issue” concept, the introduction of fixed thematic options, and the specification of text selection criteria. This study offers a practice-oriented adaptation of the IO framework,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oral performance assessments in korea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