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male Movie and Feminism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연구원
- 저자명
- 이강화(Kang-Hwa Lee)
- 간행물 정보
- 『인간과 사상』제32집,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국문 초록
남성과 여성의 성차와 역할 연결에는 각 사회에 따라 고유한 방식이 있었고 다양하게 성차를 유지하고 재생산되었다. 하지만 근대에 이르면서 여성에 대한 억압을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바라보기를 거부하였다. 이러한 여성 억압에 대해 점차 이론화되고 체계화된 도전이 등장하게 됐다. ‘페미니즘의 첫 번째 물결’이라고도 일컫는, 체계화된 형태로 나타난 도전은 여성 참정권을 요청하는 운동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운동은 1960년대에 이르러 ‘2차 페미니즘 물결’이 일어나면서 본격적으로 문화와의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한다. 단순히 정치 영역을 넘어서서 사회, 문화, 여성의 몸, 직장, 육아, 성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 권리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여성 억압의 주요 원인이 무엇보다도 여성 재현의 방식에 있음을 자각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대중매체가 여성을 억압하는 원동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통찰하고 올바른 미디어를 위한 운동을 펼치게 됐다. 이 같은 배경으로 페미니즘 운동에서 이미지, 문화, 특히 대중영화 연구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 이러한 관점은 1970년대에 이르러서 문화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 분야와 같은 다양한 연구 영역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 traditional sex model is criticized in popular culture area in several reasons. Main reasons is that the traditional approach in popular methods of psychomedical treatment search criterion and in the base diagnosis and treatment to a disease. This is ‘first wave of feminism’ this methods is disregard distinction of psycho disease from physical disease. As such, psycho disease beginning with personal, cultural and existential individuality, so new approach method is required, in this dimension, one approach of new method is cultural treatment by arts.
But this female movement makes ‘second wave of feminism’ to clear one important thing that this treatment require as much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cure and counselee for art medias, namely, universal understanding and kindly attitude as ideological analysis to research method and understanding attitude for Medias as text. so, film critic make understand to spectators that ideology is not consciously and concrete expression, but unconsciously and subconsciously expression. As so, film crtic regard unconsciousness as psycho analyst, and this analysis effectly explain a role of psycho treatment by cinema. therefore, in psycho therapy by cinema, popular cultural ideology that negatively influence on counselee is effective methods for female cinema.
목차
Ⅰ. 문화적 재현과 이데올로기
Ⅱ. 이데올로기와 영화
Ⅲ. 영화 이데올로기에 대한 심리적 접근
Ⅳ. 페미니즘적 접근의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