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henomenology of Phenomenology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연구원
- 저자명
- 김영필(Young-Phil Kim)
- 간행물 정보
- 『인간과 사상』제32집,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에드문트 후설의 현상학을 그의 근본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통상적인 이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현상학의 원본으로 돌아가서 다시 시작하려고 한다. 환원과 지향성 그리고 상호주관성의 문제들에 대한 현상학적 해명을 통해 후설의 현상학을 있는 그대로 읽는다. 특히 타자의 문제가 후설의 현상학에서 어떻게 논의되는지를 검토한다. 후기 구조주의가 후설의 현상학과 어떻게 접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 현상학과 후기 구조주의 이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네오 포스트모던이 등장하는 배경을 함께 서술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henomenology of Edmund Husserl's background around his underlying concepts. To critically assess the usual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logy of Husserl, we are going to return to the originality of phenomenology and to restart. By the phenomenological explanation of the problems of reduction, intentionality, and inter-subjectivity, I read the phenomenology as it is. In particular, we examine how the problem of the other is discussed in the phenomenology. It contains expectations about how post-structur alism can be combined with the phenomenology. It also describe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Neo Postmodern as a new paradigm after phenomenology and post-structuralism.
목차
Ⅰ. 오래된 철학의 스캔들: 현상과 본질의 분리-몸을 통한 해소
Ⅱ. 타자는 나에게 다가온 귀한 손님이다
Ⅲ. 의식은 흐름이다
Ⅳ. 환원: 그릇된 신념 내려놓기
Ⅴ. 작품(텍스트) 자체로!
Ⅵ. 후설 현상학에 대한 통상적인 비판
Ⅶ. 문화적 지향성으로 몸의 문제
Ⅷ.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