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Flash Drought Occurrence Characteristics in Gangwon Region Considering Meteorological Factor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송영석(Youngseok Song) 김하룡(Hayong Kim) 최승철(Seungcheol Choi) 김병식(Byungsik Kim)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161~17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의 전세계적인 기온 상승은 수문학적 수분부족으로 짧은 기간에 돌발가뭄을 발생시키며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돌발가뭄은 농업, 수자원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심각한 피해를 유발시키고 있으나 명확한 정의와 감시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철 강수 집중과 고온 현상이 반복되는 지역에서는 돌발가뭄에 대한 체계적인 재난예방과 저감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의 11개 종관기상관측소(ASOS)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4년까지 SPEI를 활용하여 돌발가뭄과 일반가뭄의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원도 지역에서 10년동안 39회의 돌발가뭄과 96회의 일반가뭄이 발생하였으며 전체 가뭄발생 중 약 41%가 돌발가뭄으로 분석되었다. 돌발가뭄과 일반가뭄의 발생특성은 r = 0.82의 높은 상관성이 분석되어 두 가뭄의 유형이 독립적이지 않고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원도 지역의 지역적 특성으로 돌발가뭄의 발생특성은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해안지역보다는 내력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것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돌발가뭄의 발생이 기상학적, 증발산 조건 그리고 지형특성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global temperature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have caused short-term flash droughts because of hydrological moisture shortages, and their frequency and intensity are increasing. Flash droughts cause serious damage to agriculture, water resources, and socioeconomics; however, clear definitions and monitoring systems are lacking. Systematic disaster prevention and reduction technologies for flash droughts are required in regions such as Korea, where summer rainfall concentrations and high temperatures are repeated. This study analyzed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flash droughts and general droughts using the SPEI from 2015 to 2024 at 11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in the Gangwon-do region. In this region, 39 flash droughts and 96 general droughts occurred over a 10-year period, and approximately 41% of all droughts were classified as flash droughts. We analyzed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sudden drought and general drought, and found a high correlation (r = 0.82) between the two types of drought, thus confirming that they are not independent but structurally linked. Additionally, sudden droughts in the Gangwon-do region were found to occur relatively more in the inland areas than in the coastal areas based in the Taebaek Mountains. Th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udden droughts occur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meteorological, evapotranspiration condi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목차

1. 서 론
2. 돌발가뭄의 분석방법
3. 대상지역 및 데이터 구축
4. 돌발가뭄 분석 및 비교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석(Youngseok Song),김하룡(Hayong Kim),최승철(Seungcheol Choi),김병식(Byungsik Kim). (2025).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 (4), 161-170

MLA

송영석(Youngseok Song),김하룡(Hayong Kim),최승철(Seungcheol Choi),김병식(Byungsik Kim). "기상학적인자를 고려한 강원지역의 돌발가뭄 발생특성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5.4(2025): 161-17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