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gional Seismic Risk Assessment of Disaster Management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안숙진(Sook-Jin Ahn) 박지훈(Ji-Hun Par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4호, 149~15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진후 그 기능이 요구되는 대표적인 재난관리시설인 의료시설 및 소방시설을 대상으로 지진취약도함수 기반의 지역단위 지진위험도 평가절차를 제안하였다. 지진후 인명피해와 화재로 인한 병상 및 소방차량 등의 재난관리자원에 대한 수요와 재난관리시설의 지진피해로 인한 손실이 반영된 공급을 비교하여 지진위험도 평가지수를 정의하였다. 내진설계기준 변화 및 내진보강 여부를 반영하기 위하여 설계지진하중 수준에 따라 구조유형별 대표 역량스펙트럼을 조정하여 개선한 지진취약도함수를 재난관리시설에 적용하였다. 평가대상 지역내 동일 기반암 운동 수준을 가정하여 평가후 관할구역 내 불균등한 진도분포를 고려하기 위한 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절차를 국내 광역시에 적용하여 의료 및 소방시설의 지진위험도 평가지수를 도출하고, 주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재난관리시설의 지진위험도 평가지수는 향후 지진발생 시 재난관리자원 배분의 우선순위 결정 및 지역별 대응전략 수립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regional seismic risk assessment procedure for critical disaster management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and fire stations. A seismic risk index is defined by comparing the demand for disaster response resources, such as hospital beds and fire trucks, resulting from casualties and fires after an earthquake, with the reduced supply caused by earthquake-induced damage to these facilities. To account for changes in seismic design codes and facility retrofitting, seismic fragility functions were refined by adjusting the relevant capacity spectra. Although the assessment assumes uniform bedrock motion, it includes a method to adjust for spacial variations in seismic intensity within the target area. The procedure was applied to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where regional seismic risk indices were calculated and key contributing factors analyzed. These indices can support prioritization of disaster response resource allocation and development of regional emergency response strategies against severe earthquakes.
목차
1. 서 론
2. 재난관리시설의 지진위험도 평가절차
3. 설계기준 및 내진등급을 반영한 지진취약도함수
4. 지진위험도평가 예제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