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Portraits of Admiral Yi Sun-sin in the Modern Era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저자명
- 박종평(Jong-Paung Park)
- 간행물 정보
- 『이순신연구논총』제41호, 299~351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근대까지 존재했거나 제작된 다양한 이순신 초상화의 현황과 변천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현재 통용되는 이순신의 시각적 이미지가 시대적 기억과 상상 속에서 형성되어 온 결과물이나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조선시대에 제작한 초상화들은 현존하지 않고, 또 근대에 제작된 것들도 제작 시기나 작가, 진위 여부 등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다양한 매체 속에서 복제·변형되어 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동아대학교 박물관 소장 초상화, 여수 충민사에 봉안되었던 초상화를 중심으로 특징과 전승 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여수 충민사 초상화는 이종우(1930), 김은호(1950), 장우성(1953) 등 근대 화가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원형으로 확인했다.
또한 순천 왜교, 여수 장군 영당, 한산도 제승당 등지에서 존재했던 초상화들은 지역 공동체의 집단 기억과 숭앙 속에서 전승된 사례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초상화의 존재는 이순신 초상화가 단일한 원형이 지속적으로 전승된 것이 아니라, 각 시대의 사회적 요구와 기억의 방식에 따라 재현되고 재창조된 사회문화적 산물임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이순신 초상화의 현황 파악과 분석을 통해 역사적 인물 형상이 어떻게 형성·변형·기억되는지를 조망했으며, 향후 초상화 관련 자료의 추가 발굴과 정밀한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various portraits of Admiral Yi Sun-sin that were either created or existed up to the modern era. The widely recognized visual image of Yi Sun-sin today is a product shaped by collective memory and imagination over time, ye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on this subject. In particular, no portraits that were definitively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ve survived, and even those produced in the modern era have unclear origins—such as uncertain dates of creation, unknown artists, or disputed authenticity. Nevertheless, these images have been repeatedly reproduced and modified across a variety of media.
Focusing on these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of key portraits, including the one held by the Dong-A University Museum and the portrait once enshrined at Chungminsa(Shrine) in Yeosu. The Chungminsa portrait, in particular, is identified as a prototyp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works of modern artists such as Yi Jong-woo (1930), Kim Eun-ho (1950), and Jang Woo-sung (1953).
Portraits that were once kept at Whyogyo Yeongdang in Suncheon, Yeosu Yeongdang, and Jeseungdang on Hansando Island are also understood as examples of local community-based remembrance and veneration of Yi Sun-sin.
The existence of multiple and diverse portraits indicates that there was no singular original image of Yi Sun-sin continuously handed down through history. Instead, each portrait was a sociocultural product, reproduced and re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ocial demands and modes of memory of its time.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transmission and variations of Yi Sun-sin's portraits, this study offers insight into how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a historical figure is constructed, transformed, and remembered.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further discovering related materials and conducting more precise comparative research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근대 초기 이순신 초상화 관련 기록 검토
Ⅲ. 근대 시기 이순신 초상화의 형성과정과 변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