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presentation of Admiral Yi Sun-sin in Historical Dramas and Films -Focusing on Immortal Admiral Yi Sun-sin, Roaring Currents, Hansan, and Noryang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 저자명
- 제장명(Jang-Myeong Je)
- 간행물 정보
- 『이순신연구논총』제41호, 131~184쪽, 전체 5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한국의 위대한 역사 인물인 충무공 이순신을 선양하는 방법 중 오늘날 대중이 가장 쉽고 흥미롭게 접하면서도 선양과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수단이 바로 미디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사극과 영화이다.
특히 사극이나 영화를 통해 특정 인물을 다루는 것은 그 문화적 충격이 크기 때문에 극의 전개에 지장이 없다면 가급적 역사적 사실은 정확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순신 관련 사극과 영화 중 현대 시기 이순신 선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극 ‘불멸의 이순신’과 영화 ‘명량’, ‘한산’, ‘노량’을 분석하여 이순신 재현의 특징과 그 교훈을 정리해보았다.
그 결과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과 3종의 영화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은 역사 왜곡이 너무 심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영화 3편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이순신이 사용한 백병전은 절대 해서는 안 될 전술임에도 모든 영화에서 비중 있게 사용하고 있다. 3영화에서 사용한 전술도 모두 역사적 사실과 다르게 나타내고 있다. 거북선 등장도 한산도 해전에서만 활동했지 다른 해전에서는 나오지 않았음에도 영화 ‘명량’과 ‘노량’에 다 등장하고 있다. 심지어 영화 ‘노량’에서는 거북선이 무참히 격파되고 있다. 아울러 조선 수군이 사용한 화포인 총통을 극의 재미를 휘해 장난감 취급한 것은 매우 잘못된 설정이다. 부가하여 영화 속에서 이순신 혼자서 지휘하고 전투하면서 모든 성과를 이순신이 이룩한 것으로 설정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현상은 기존 이순신 연구의 성과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고 과거의 연구 수준을 담은 책자들에 보이는 잘못된 내용들을 참고한 것 같다. 혹은 역사적 사실이 아닌 것을 알면서도 극의 재미를 위해 설정한 것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한국의 역사 영웅인 이순신에 대한 영상물은 정확한 역사적 고증을 거쳐서 시나리오를 쓰고 제작해야 한다. 이순신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는 다른 어떤 인물보다 높기 때문이다.
요컨대 영화제작자의 입장에서는 허구를 가미하되 극의 전개에 지장이 없다면 당시의 역사적 사실은 정확하게 반영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정확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가운데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극을 전개해야만 올바른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One of the most accessible and engaging ways to honor Admiral Yi Sun-sin, a revered historical figure in Korean history, is through the use of modern media. Among these, historical dramas and films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both promoting public interest and maximizing educational impact. Given the powerful cultural influence of these media forms, it is essential that they strive for historical accuracy whenever possible, especially when such accuracy does not hinder narrative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Yi Sun-sin in the drama Immortal Admiral Yi Sun-sin and the films Roaring Currents, Hansan: Rising Dragon, and Noryang: Deadly Sea, which have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contemporary public perception of the admiral. Through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four works share a common flaw: serious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In particular, all three films heavily emphasize hand-to-hand combat tactics, which were in fact considered highly inappropriate and were never employed by Admiral Yi. Moreover, the strategic depictions in these films significantly deviate from historical reality. For instance, the turtle ship—historically used only during the Battle of Hansan Island—is inaccurately shown in Roaring Currents and Noryang, with the latter even portraying it being destroyed in battle. Additionally, the powerful cannons (chongtong) used by the Joseon navy are reduced to mere props for entertainment value. Another major issue is the portrayal of Admiral Yi as a lone hero who single-handedly directs all battles and secures all victories, ignoring the collective effort of his officers and sailors.
These distortions suggest either a reliance on outdated or incorrect historical sources or a deliberate choice to prioritize dramatic effect over historical truth. Nevertheless, media representations of Admiral Yi—given his iconic status and the high level of national interest—must be based on thorough and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In conclusion, while some degree of fictionalization is acceptable to enhance dramatic engagement, it is critical that historical facts be respected and faithfully portrayed, especially when they do not conflict with narrative development. Only by grounding dramatic works in historical truth while responding to contemporary societal needs can such media fulfill their role in providing meaningful historical lessons.
목차
Ⅰ. 머리말
Ⅱ. 드라마‘불멸의 이순신’분석
Ⅲ. 영화‘명량’분석
Ⅳ. 영화‘한산’분석
Ⅴ. 영화‘노량’분석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