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Urban Splicing Model: 엑손-스플라이싱 정보처리를 적용한 도시 안전도 개선

이용수 0

영문명
Urban Splicing Model: Improving Urban Safety by Applying Exon-Splicing Information Processing
발행기관
한국전자통신학회
저자명
윤신숙(Shin-Sook Yoon) 송정화(Jeong-Hwa Song)
간행물 정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4호, 789~79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러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원리를 도시계획 및 안전 연구 영역에 적용하여 ‘Urban Splicing Model’을 제안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모델은 조명 개선, CCTV 설치, 공원 환경 개선 및 기능 활성화, 복합용도지역 지정(mixed-use zoning) 등 개별적인 도시 환경 재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사업들을 유전자의 ‘엑손(exon)’으로 간주하였다. 이 단위 사업들을 다양하게 조합하고 패키징 함으로써, 범죄 발생의 단계적 과정(범죄 대상 물색, 잠재적 피해자 추적, 범죄 실행을 위한 접근, 실제 범행)을 각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도시 및 지역사회의 생활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 가설 검증을 위하여 2019년과 2025년의 국민안전지도 위험지수 데이터를 패널 데이터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 ‘조명 개선 + 공원 활성화 + 커뮤니티치안 프로그램 운영’과 같이 조합 CPTED 패키지를 시행한 지역에서 범죄 위험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단일 모듈만 투입된 지역에서 관찰된 효과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복합적이고 모듈화된 CPTED 사업 설계 방식이 도시 안전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Urban Splicing Model이 학제 간 연구에서 유용한 분석틀로서 확장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pply these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 principles to the areas of urban planning and safety research to propose an ‘Urban Splicing Model’ and verify its validity. This model considered individual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environmental redesign(CPTED) projects, such as improving lighting, installing CCTV,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activating the functions of parks, and designating mixed-use zoning, as ‘exons’ of the gene. By combining and packaging these unit businesses in various ways, or ‘splicing’ them, we hypothesize that the stages of crime occurrence (searching for crime targets, tracking potential victims, approaching to commit a crime, and actually committing a crime) can be effectively blocked at each stage,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living in cities and commun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plex and modular CPTED project design approach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urban safety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엑손의 대체 스플라이싱 정보처리 이론을 활용하는 안전도 제고 방안
Ⅳ. 안전지도 기반 실증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신숙(Shin-Sook Yoon),송정화(Jeong-Hwa Song). (2025).Urban Splicing Model: 엑손-스플라이싱 정보처리를 적용한 도시 안전도 개선.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 (4), 789-798

MLA

윤신숙(Shin-Sook Yoon),송정화(Jeong-Hwa Song). "Urban Splicing Model: 엑손-스플라이싱 정보처리를 적용한 도시 안전도 개선."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4(2025): 789-79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