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Follow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Trust in Leader
- 발행기관
-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 저자명
- 김지윤(Ji Yoon Kim) 박순(Soon Park) 김진욱(Jin Wook Kim)
- 간행물 정보
- 『창조와 혁신』제18권 제2호, 97~13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급변하는 외부 환경과 불확실성의 증대로 인해 기업들은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인 중 하나는 조직이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성과 창출에 대한 최종 책임을 지는 리더의 역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신뢰 및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효율적인 직무 수행을 위해서는 구성원 간 공유된 의미를 창출하고 협력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리더와 구성원의협조가 중요하다. 서번트 리더는 조력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과정에서 경청, 공감, 치유, 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등의 행동 특성을 보이며, 이는 기존 리더십과 차별화되는 요소이다. 이러한 특성은 구성원들이 리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조직시민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 및 리더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신뢰는 구성원이 조직을 신뢰하고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을 하려는 긍정적인 기대를 의미하며, 리더신뢰는 구성원이 리더를 믿고따르는 정도를 뜻한다. 가설 검증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100인 이상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2부의 응답을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구성원의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리더신뢰는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Due to constan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creased uncertainty, companies are actively conducting strategic discussions to respond quickly. Among them, the absolute factor that enables a company's sustainable growth will be the leader who is the final manager who must derive results by suggesting the direction the organization should pursu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memb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leader trust in these relationships. For members to perform their duties efficiently, the cooperation of leaders and members is absolutely necessary to create a shared meaning among members. Servant leaders show behavioral characteristics such as listening, empathy, healing, presenting visions, and community 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monstrating leadership as an assistant,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leadership. Through this, members can be expected to positively recognize the leader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which means positive expectations that members will pursue actions for their expectations and benefits based on trust, and leader trust, which means members' trust in leaders. To test the hypothesis, 202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mpanies with more than 100 full-time workers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used.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emb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trust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leader trust does not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se stud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