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on Emotional Reactivity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양사랑(Sa-Rang Yang) 김정이(jeong-Ei Kim)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11권 제2호, 171~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정서 반응성은 사건에 대한 개인의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정서 조절은 암묵적이고 노력적인 내적 및 외적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 과정들은 시간과 노출 전반에 걸쳐 정서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두 가지 구성 요소는 개념적으로 서로 다르지만 서로 얽혀 있다. 아동들의 초기 경험과 정서 표현이 장래의 웰빙이나 부적응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데, 초기 정서 표현은 장래의 정신적 상태, 신체 건강, 행동 문제, 사회적 기능 및 학교 기능을 예측한다. 본 연구는 정서 반응성에 대한 정서 조절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를 요약하자면, 조절된 정서를 표현하는 경향과 적절한 정서 조절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모두 사회적 기술의 발달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Emotional reactivity refers to an individual's emotional response to an event, and emotion regulation refers to implicit and effortful internal and external processes, which play a role in regulating emotional reactivity throughout time and exposure. Although these two components are conceptually different, they are intertwined. There is no doubt that children's initial experiences and emotional expressions are related to future well-being or maladjustment, and initial emotional expression predicts future mental conditions, physical health, behavioral problems, social functions, and school function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previous studies to find out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on emotional reactivity. To summarize the review results, both the tendency to express controlled emotions and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emotion regulation techniques seem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정서 반응성과 정서 조절
Ⅲ. 사회적 행동 예측 인자로서 정서 반응성과 정서 조절
Ⅳ. 정서 반응성에 대한 정서 조절의 중재 역할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