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Effect of Psychomotorik Program to Promote Mental Health for Elders
발행기관
한독심리운동학회
저자명
김민석(Min-Suk Kim)
간행물 정보
『심리운동연구』제11권 제2호, 135~16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지원하여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우울, 불안, 스트레스로 대표되는 정신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효과를 확인하였다.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심리적 안녕감, 노인을 위한 심리운동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구성요소, 프로그램 활동 내용 및 지원 방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시안을 작성하였고 1차 전문가 협의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예비 연구를 진행하고, 2차 전문가 협의를 거처 수정·보완 후 최종 시안을 확정하였다.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검사로 한국판 정신적 웰빙 척도, 한국인 불안 척도, 한국인 우울 척도, 한국인 스트레스 척도 검사지를 실시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동질성을 획득하였다. 그 후 실헙집단에게 8주 동안 주 2회의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이 모두 끝난 후 사후검사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한국판 정신적 웰빙 척도, 한국인 불안 척도, 한국인 우울 척도, 한국인 스트레스 척도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정신건강 증진의 사전-사후 검사의 통계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정신적 웰빙 사전검사 평균(M=9.07, SD=4.22)에 비하여 사후검사 평균(M=19.13, SD=10.54)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t=-3.541, p<.01). 반면, 통제집단의 정신적 웰빙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0.393, p>.05). 실험집단의 불안 정도는 사전검사 평균(M=16.27, SD=8.46)에 비하여 사후검사 평균(M=11.00, SD=6.43)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t=3.618, p<.01). 반면, 통제집단의 불안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0.612, p>.05). 실험집단의 우울 정도는 사전검사 평균(M=18.46, SD=6.49)에 비하여 사후검사 평균(M=14.60, SD=5.57)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t=3.729, p<.01). 반면, 통제집단의 우울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0.315, p>.05).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정도는 사전검사 평균(M=18.46, SD=6.49)에 비하여 사후검사 평균(M=6.33, SD=3.31)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t=8.794, p<.001). 반면, 통제집단의 스트레스 정도는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284, p>.05).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노인의 정신건강 문제 해소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는 심리운동 프로그램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지원하여 정신적 웰빙을 증진할 뿐 아니라 우울과 불안,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sychomotorik program aimed at promoting the mental health of elder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address common mental health issue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while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wellness. A comprehensive approach was used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included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ntal wellness, and psychomotorik interventions for elders. This review informed the formulation of the program's objectives, components, activities, and delivery methods.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program was drafted and underwent a two-stage validation process: an initial expert consultation and content validity assessment, followed by pilot testing and a second round of expert review for further refinement. The finalized psychomotorik program was then implemented and its effectiveness evaluated. To test the program's effectiveness, a sample of 30 participants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a control group(n=15). Both groups completed pre-test assessments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Mental Well-Being Scale, Anxiety Scale, Depression Scale, and Stress Scale. The homogeneity of the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8-week psychomotorik program conducted twice weekly.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e scal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Within-group comparisons were made using paired samples t-test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nhanced Mental Well-Being: The post-test mean score (M=19.13, SD=10.5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est mean score (M=9.07, SD=4.22) (t=-3.541, p<.01).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t=0.393, p>.05). Reduced Anxiety: The post-test mean score(M=11.00, SD= 6.43)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mean score(M= 16.27, SD=8.46) (t=3.618, p<.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t=0.612, p>.05). Reduced Depression: The post-test mean score(M= 14.60, SD=5.57) was lower than the pre-test mean score(M=18.46, SD=6.49) (t=3.729, p<.01).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0.315, p>.05). Reduced Stress: The post-test mean score(M=6.33, SD=3.31)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pre-test mean score(M=18.46, SD=6.49) (t=8.794,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1.284, p>.05). In conclusion, the psychomotorik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by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ntal wellness while reduc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value of psychomotorik interventions as a means of support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dressing mental health challenges in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Ⅲ.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석(Min-Suk Kim). (2025).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심리운동연구, 11 (2), 135-169

MLA

김민석(Min-Suk Kim). "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심리운동연구, 11.2(2025): 135-16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