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원형식(Hyeong-Sig Won) 염완석(Wan-Seok Weom)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11권 제2호, 115~13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정서 조절이 청소년 정신병리의 발달 및 유지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초기 청소년기에서 중기 청소년기로의 전환기는 정서 조절 발달을 연구하는 데 특히 유리한 기간인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의 낮은 수준의 정서 조절 능력은 횡단면적, 종단적 및 임상적 연구 결과를 통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 조절 및 정서 조절 유연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의 검토를 통해, 청소년의 정서 조절 유연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정서 조절 유연성은 다양하고 일관되지 않은 방식으로 정의되었지만, 정서 조절 유연성이 일반적으로 청소년기 동안의 발달과 스트레스가 많은 삶의 사건의 맥락에서 관련된 맥락적 도전에 대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Considering that emotion regulation i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adolescent psychopathology, the transition period from early to mid-term adolescents seems to be a particularly beneficial period for studying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Adolescents' low-level emotion regulation ability was found to be related to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s through cross-sectional, longitudinal, and clinical research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of adolescent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of adolescents. In the review, although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was defined in various and inconsistent ways, several studies have confirmed that emotion regulation flexibility general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and adaptation to relevant contextual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stressful life events.
목차
Ⅰ. 서론
Ⅱ. 청소년의 정서 조절
Ⅲ. 정서 조절 유연성
Ⅳ. 청소년의 정서 조절 유연성 개념화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