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of Single Mothers in the Labor Market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 저자명
- 정지연(Jiyoun Jeoung)
- 간행물 정보
- 『사회통합연구』Vol. 6, No. 2, 121~15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혼모가 노동시장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교차성(intersectionality)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미혼모는 정상가족 규범에서 벗어난 존재로 낙인찍히며, 이러한 사회적 낙인은 노동시장에서도 그대로 작동한다. 이들의 노동은 자녀 출산과 양육으로 경력 단절을 경험하는 일반 여성 노동자들과 유사하게 인식된다. 하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는데 우선, 미혼모들은 모성보호제도와 같은 공식 제도의 이용이 어렵고, 회식·야근·워크숍 등 비공식적 조직문화에서도 배제된다. 또한 이들은 경제적·사회적 자원의 부족으로 돌봄의 부담을 모두 감당하여 유급노동의 지속이 어렵고 장시간 교육이나 시험 준비가 필요한 취업 기회에서도 불리하다. 더욱이, 미혼모에 대한 낙인은 이들을 노동주체로 인식하기보다는 성적으로 대상화되는 존재로 만들며, 정상가족 중심의 이미지를 요구하는 직종에서는 이미지가 나쁘다는 이유로 취업 자체가 거부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실은 현대 노동시장이 여전히 ‘돌봄 책임이 없는 이상적 노동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성의 양육 부담을 고려한 제도 역시 미혼모에게는 접근성이 제한적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미혼모의 노동시장 차별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경력단절 여성’ 지원을 넘어, 가족 형태, 계층, 젠더가 교차하는 구조적 조건을 반영한 통합적 제도와 정책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labor market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ingle mothers through the lens of intersectionality. Single mothers are stigmatized as deviating from the normative family structure, and such stigma persists within the labor market. While their labor is often viewed similarly to that of women who experience career interruptions due to childbirth and childcare, single mothers face unique exclusions. They have limited access to formal maternity protection systems and are often excluded from informal workplace cultures such as company dinners, workshops, and overtime work. The lack of economic and social capital increases their caregiving burden, leading many to forgo paid labor. Furthermore, the demanding nature of job preparation—requiring long hours of study or training—poses significant barriers. The stigma surrounding single motherhood not only diminishes their perceived employability but also results in their sexual objectification. In occupations that demand adherence to traditional family norms, employment opportunities are often denied outright. This demonstrates that the modern labor market continues to be structured around the ideal of a worker free from caregiving responsibilities. Moreover, institutional measures designed to reduce the childcare burden for women are often inaccessible to single mothers. Therefore, addressing labor market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mothers requires more than support for women with interrupted careers; it calls for policies and systems that reflect the intersecting influences of family structure, class, and gender.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여성학
- 페미니즘연구
- 경제와사회
- 한국가족복지학
- 한국가족복지학
- 여성학논집
- 여성가족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여성학연구
- 한국여성학
- 이화젠더법학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국사회정책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사회복지연구
- 사회과학연구
- 농촌사회
- 가족과문화
- 젠더와 문화
- 홍익법학
- 여이연
- 페미니즘연구
- 한국건강형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