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riticism and Self-silenc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u Yeon Kim Yo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3, 109~1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과 자기침묵을 매개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비난, 자기침묵, 우울 각 변인들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자기침묵은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가혹한 기준으로 스스로를 비난하게하고, 엄격한 기준을 달성하 기 위해 대인관계에서의 자신을 억제하고 침묵하지만, 그로 인한 분열감과 상실감으로 우울에 이르게 됨을 시사한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depress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s of self-criticism and self-silencing.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criticism, self-silencing,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Second, self-criticis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ird, self-silencing also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Fourth, self-criticism and self-silencing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 to harshly criticize themselves and suppress their true selv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order to meet rigid standards. However, this suppression and sense of disconnection may ultimately lead to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