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icroscopic Spatial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Low Birth : A Neighborhood-level MGWR(Multiscal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정책학회
- 저자명
- 박정호(JungHo Park) 진영주(Youngju Jin) 김지현(Jihyun Kim)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정책연구』제26집 제2호, 24~49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저출생은 국토 전반에 걸쳐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현상으로서 지역 간 차이도 뚜렷하다. 저출생의 지역 간 차이는 미시 공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저출생 현상의 공간적 분포과 영향요인에 관하여 미시적 접근을 시도하는 연구는 다소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통계청 집계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 3,501개 읍면동 소지역을 대상으로 저출생 현상의 미시적 공간 분포와 소지역 영향요인에 관한 다중스케일 지리가중회귀(MGWR: Multiscal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국토 전반에 걸쳐 가구 형성이 활발하고 30대 중심의 인구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주거환경과 일자리 여건이 양호한 읍면동 소지역에서 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출생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방향성과 강도 및 통계적 유의도는 소지역별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소지역 읍면동별로 상이한 출생 영향요인의 공간적 범위와 방향성 및 강도를 고려함으로써 결혼·출생·양육 친화적인 주거환경 조성 및 주거정책을 미시적인 소지역 차원에서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Low birth is a pervasive phenomenon across South Korea, exhibiting distinct regional disparities. Despite the significant microscopic spatial differences in low birth rates, research explo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low birth across the entire nation through a microscopic approach remains limited. To timely address this gap, this study employs a set of 2020 national data from Statistics Korea, analyzing the microscopic spatial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low birth across 3,501 neighborhoods(Eup, Myeon, and Dong) nationwide using a MGWR(Multiscal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reveals that neighborhoods with active household formation, young adults(age 30s)-centered population structure, favorable residential and work environments tend to have higher birth rates. Notably, the direction, magnitud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low birth exhibit substantial variation across neighborhood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step for policy interventions aimed at reversing the declining birth trend by fostering neighborhood conditions that are conducive to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rearing.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creating birth-friendly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formulating effective housing supply and real estat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 모형 및 데이터
Ⅳ. 저출생 현상의 미시적 공간분포와 소지역 영향요인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