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이용수 0

영문명
The Symbolism of Cats and the Moon in the Works of W. B. Yeats and T. S. Eliot.
발행기관
한국T.S.엘리엇학회
저자명
유병구(Byeongkoo YOO)
간행물 정보
『T. S. 엘리엇연구』제35권 제1호, 125~15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은 학자들에 따라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다. 예이츠에게 달은 단순히 하늘에 떠 있는 달의 모습을 뛰어넘어 그의 종교적, 철학적 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이츠는 점성술에 관심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달의 위상 변화를 관찰하고 위상에 맞는 인물을 나열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예이츠의 시 「고양이와 달」과 예이츠의 희곡 『고양이와 달』의 분석을 통해 고양이와 달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예이츠가 1917년에 쓴 시 「고양이와 달」과 달리, 엘리엇은 1939년 『실천적인 고양이에 대한 올드 파썸의 책』이라는 제목의 지혜로운 고양이가 되기 위한 안내서를 썼다. 이 책은 고양이와 인간의 관계를 자세히 묘사하는 엘리엇의 재치를 잘 보여준다. 엘리엇은 고양이에 대한 시 「고양이에게 말걸기」, 「매캐비티: 신비로운 고양이」에서 고양이의 행동과 성격을 사람의 행동과 성격으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바람 부는 밤의 광시곡」에서 달은 기억력과 연결되기도 하며 미소로 세상을 비추며 모든 기억을 잃어 버린 신비한 존재로 등장한다.

영문 초록

The symbolism of cats and the moon in the works of W. B. Yeats and T. S. Eliot may vary according to scholars. For Yeats, the moon goes beyond just the appearance of the moon in the sky and is closely related to his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deas. Not only was Yeats interested in astrology, but also he observed the moon’s phase change and listed characters appropriate for the ph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symbolic meanings through the analysis of Yeats’s poems and his play, The Cat and the Moon. Unlike the poem, “The Cat and the Moon” which Yeats wrote in 1917, Eliot wrote a guide to become a wise cat entitled Old Possum’s Book of Practical Cats in 1939. The book shows Eliot’s wit to describe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cats and humans. In his poems, “The Ad-dressing of Cats” and “Macavity: The Mysterious Cat,” Eliot connects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of cats with that of humans, and in his poem, “Rhapsody on a Windy Night,” he connects the moon with memory and describes the moon as a being that illuminates the world with her smile.

목차

Ⅰ. 서론
Ⅱ.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Ⅲ.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Ⅳ. 결론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병구(Byeongkoo YOO). (2025).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T. S. 엘리엇연구, 35 (1), 125-150

MLA

유병구(Byeongkoo YOO). "W. B. 예이츠와 T. S. 엘리엇의 작품에 나타난 고양이와 달의 상징성." T. S. 엘리엇연구, 35.1(2025): 125-15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