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징 분석 - 중국과 한국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Policies : A Comparison between China and Korea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최택월(ZeYue Cui) 주자함(ZiHan Zhou) 박현숙(Hyun Sook Park)
간행물 정보
『한국교육연구』제1권 제1호, 53~7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교원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각국의 교육철학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원정책의 차이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교원정책의 목적과 주요 특징을 분석 틀로 삼아 문헌 및 정책 문서 대조 연구를 기반으로 한중 양국 교원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논의하는 비교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결과는 중국은 사회주의 이념 기반 정치적 책임 강조와 국가주도 표준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한국은 민주주의 가치에 근거한 교사 자율성 증진과 유연한 교육환경 조성에 중점을 둔다. 교사양성 측면에서 중국은 이념교육 중심의 통합훈련을, 한국은 이론-실습 병행 체계를 운영한다. 자격제도는 중국 국가가치 vs 한국 직업윤리로 차별화되며, 교육방향도 국가통합 대 개방적 학습문화로 대비된다. 시사점으로 중국은 창의적 교육 확대, 한국은 전문성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acher policies of China and South Korea, deriving differences in teacher policies that reflect each country's educational philosophy and societal demands. Utilizing a comparative methodology, the study examines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eacher policies based on literature and policy document analysis, focusing on the objectiv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eacher policies. The findings reveal that China emphasizes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a state-led standardized system rooted in socialist ideology, while South Korea prioritizes enhancing teacher autonomy and fostering a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 based on democratic values. In terms of teacher training, China focuses on ideology-centered integrated training, whereas South Korea employs a system that combines theory and practice. Qualification systems differ, with China emphasizing state values and South Korea prioritizing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al directions also contrast, with China aiming for national integration and South Korea promoting an open learning culture. The study suggests that China needs to expand creative education, while South Korea should strengthen teacher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중국 교원정책의 현황과 특징
Ⅲ. 한국 교원정책의 현황과 특징
Ⅳ. 중국과 한국 교원정책의 비교와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정치학연구
  • 교사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비교교육연구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 교육정치학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한국교육학연구
  • 論文集
  • 教育研究
  •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公報
  •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公報
  • 中共黨史研究
  • 現代教育管理
  • 教育理論與實踐
  • 中小學德育
  • 徐州師範大學學報
  • 清華大學教育研究
  • 湖北民族大学学报
  • 荊楚學刊
  • 人民周刊
  • 四川师范大学学报
  • 中國高教研究
  • 國家教育行政學院學報
  • 教師教育研究
  • 中國民族教育
  • 中國教育報
  • 上海高教研究
  • 陝西師範大學學報
  • 渭南師範學院學報
  • 國家教育行政學院學報
  • 國家教育行政學院學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택월(ZeYue Cui),주자함(ZiHan Zhou),박현숙(Hyun Sook Park). (2025).교원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징 분석 - 중국과 한국 비교. 한국교육연구, 1 (1), 53-77

MLA

최택월(ZeYue Cui),주자함(ZiHan Zhou),박현숙(Hyun Sook Park). "교원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징 분석 - 중국과 한국 비교." 한국교육연구, 1.1(2025): 53-7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