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살아있는 지역, 그것이 지역학이 필요한 이유다!

이용수 0

영문명
Living Regions - Why Regional Studies Is Necessary
발행기관
경기학회
저자명
이동준(Dong Joun Rhee)
간행물 정보
『경기지역학연구』제12호, 41~7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역은 지역민이 자기 자신을 발견하는 장소로 파악된다. 과거 우리는 지리적 환경이나 통치 권력에 의해 구획된 지역에서 순응하며 살아온 객체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중앙권력의 수탈과 문화적 독점화로부터 벗어나 주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의 새로운 발견이 중요해지고 있다. 프랑스의 ‘코뮌’ 사례에서 보듯 주민자치적 성격의 지역공동체에 기반할 때 진정한 근대성과 시민의 탄생이 가능하다. 조선 후기 왕조 권력의 수탈과 식민적 근대화 과정을 거치며 우리나라 지역은 오래도록 식민성에 침식되어왔다. 특히 삭막한 도시공간 구조가 개인을 분리하고 소통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현실 속에서, 우리의 삶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의 의미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지역을 회복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기존 향토사가 관찬기록물에 의존해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한 한계를 넘어서, 이제 지역사는 주민이 공유하는 집합기억과 대항기억을 바탕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지역학은 중앙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지역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중시하는 지역 중심의 연구로 정의할 수 있다. 지역학은 지역의 역사, 문화, 사회와 인문환경을 아우르는 총체적 연구로서 지역민의 삶을 진단하고 미래 방향을 찾는 미래학이자 실천학의 성격을 갖는다. 또한 연구자 중심이 아닌 지역 주민과 지역 공동체의 참여형 연구를 지향하며, 폐쇄된 지역주의를 벗어나 개방적 소통을 추구하는 것이 지역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나라에서 지역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되면서 ‘지방사’나 ‘향토사’에서 ‘지역사’로의 용어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을 국가에 의해 주변화된 공간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문화를 만들며 살아가는, 독특한 고유성을 가진 공간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지역문화 아카이브는 지역에 관한 자료와 정보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민적 상상력과 풍부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전망을 제시한다. 주민자치 시대에 마을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민에 의한 마을기록 작업이 새로운 문화적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 조선시대 지리지와 같은 외부자 관점의 기록에서 벗어나, 주민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마을의 과거 역사와 현재의 갈등, 미래 자원을 파악하는 내부자 관점의 기록이 중요해지고 있다. 바로 기록자치의 방향이다. 이천문화원은 2017년부터 시민기록자 인문학 과정을 개설하고 이들의 기록 활동을 지원해왔다. 구술채록과 마을기록, 콘텐츠화라는 세 가지 활동 영역에서 시민기록자들은 마을주민이 마을 일의 주체가 되게 하는 것을 목표로 주민 중심, 생활현장 중심의 시각으로 이 일에 접근하고 있다. 마을기록사업은 기존의 관찬 중심, 전문가 중심의 마을지와 달리 주민이 기록의 주체로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을 추구한다. 주민의 바람과 욕구 파악, 공감대 형성과 적응, 일상생활 속 조사활동, 정리와 마무리의 4단계 과정을 통해 전문가와 주민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역전시켜 주민을 객체가 아닌 주체의 자리에 올려 세우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necessity of regional studies as a practical discipline that seeks regional identity and future development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s. The study is structured in three main parts, examining the struggle for regional identity, the nature of regional studies as a practical discipline, and ma-ul archiving as a declaration of independence toward cultural autonomy. Regions serve as spaces where local residents discover their true selves. Historically, communities have existed merely as objects of compliance within territories demarcated by geographical environments or ruling powers. There is now a need to break free from the exploitation and cultural monopolization by central authorities and discover regions where residents become the main subjects. Similar to the French “commune” model, genuine modernity and citizenship can emerge from region-based communities with resident autonomy characteristics. Korean regions have long been eroded by colonialism through the exploitation by late Joseon dynasty powers and colonial modernization. Without the emergence of regional residents and the rediscovery of regions, neither regional history nor ma-ul history can exist. The bleak urban spatial structure isolates individuals and makes communication impossible. We must resist social structures that divide regions solely into physical and administrative spaces, and restore regions by giving new meaning and value to place through our lives. The discovery of regionality is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spirit and the process of finding our own identity. Traditional local history, dependent on government-compiled records, has failed to properly capture the stories of ordinary people. Regional history must now be reconstructed based on collective memory and counter-memory shared by residents, grounded in their subjective memories of places where their lives unfolded. Regional studies represents region-centered research that emphasizes the uniqueness and originality of regions, departing from central-focused perspectives. As comprehensive research encompassing regional history, culture, society, and humanities environment, it functions as both futurology and practical studies that diagnose residents’ lives and seek future directions. The purpose of regional studies is to discover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values, illuminate them from new perspectives, and create regional value. It pursues participatory research by regional residents and communities rather than researcher-centered approaches, and seeks open communication beyond closed regionalism. Interest in regions in Korea began in earnest from the late 1990s. What was previously called “local history” or “hometown history” from a central history-centered perspective is now changing to “regional history”. This signifies that regions are no longer understood as spaces marginalized by the state, but as spac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where regional residents actively create culture and live. Unlike the fragmentary research of traditional local history, regional studies involves discov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egions based on cultural history and life history centered on regional people. Regional cultural archive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producing civic imagination and rich content by mak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bout regions easily accessible and usable by everyone. In the era of resident autonomy, ma-ul archiving work by residents has emerged as a new cultural value as interest in ma-ul communities increases. Rather than external perspectives like the geograph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internal perspectives that identify ma-ul history, current conflicts, and future resources according to residents’ own needs and seek development paths are important. The central axis of ma-ul archiving work consists of internal regional residents and citizen archivists rather than external experts.

목차

Ⅰ. 지역의 정체성은 거저 주어지지 않는다
Ⅱ. 지역학: 지역민의 관점에서 미래를 모색하는 실천학
Ⅲ. 마을기록: 문화자치를 향한 지역의 독립선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지방사와 지방문화
  • 동북아문화연구
  • 한국사회
  • 지역 연구현황과 시사편찬의 방향
  •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 소명출판
  • 로칼리티 인문학
  • 경기문화재단
  • 도서출판 선인·한국문화원연합회
  • 이천문화원
  • 동아문화
  • 한국학연구
  • 지방사와 지방문화
  • 한국구술사학회 아카데미, 구술사와 지역사
  • 한국사 연구휘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준(Dong Joun Rhee). (2025).살아있는 지역, 그것이 지역학이 필요한 이유다!. 경기지역학연구, (), 41-74

MLA

이동준(Dong Joun Rhee). "살아있는 지역, 그것이 지역학이 필요한 이유다!." 경기지역학연구, (2025): 41-7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