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Unmet Needs on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김주연(Juyeun Kim) 이상미(Sangm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7권 4호, 649~68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암환자의 가족 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미충족 요구와 우울신체증상의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북 지역의 일개 종합병원 외래 진료에 동반한 가족 돌봄제공자 1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를 하였으며, 자료는 2023년 3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 및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미충족 요구의 평균은 1.75점(±0.72), 우울신체증상의 평균은 16.95점(±12.94)이었으며, 미충족 요구와 우울신체증상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모든 미충족 요구 하위영역 역시 우울신체증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강관리·심리적 요구(β=.36), 정보·교육 요구(β=.18), 성별(여성)(β=.20), 학력(고졸 및 대졸 이상)(β=-.38), 환자와의 관계(친인척)(β=-.14)가 우울신체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5%(R²=.455)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 돌봄제공자의 미충족 요구, 특히 건강관리·심리적 및 정보·교육적 요구가 우울신체증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특정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신체증상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가족 돌봄제공자의 신체 및 심리적 회복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 자원 제공, 고위험군에 대한 선별적 개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unmet needs and depressive somatic symptoms among 129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buk Province,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July 2023 using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SPSS 28.0,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overall unmet needs score was 1.75 (±0.72), and the mean depressive somatic symptoms score was 16.95 (±12.94). Unmet needs and all subdomain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ve somatic symptoms.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health care and psychological needs (β=.36),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needs (β=.18), female gender (β=.20), higher education (β=-.38), and being a relative rather than a spouse (β=-.14) significantly predicted depressive somatic symptoms, explaining 45.5% of the variance (R²=.45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met needs—particularly related to health care, psychological support, and information—are closely linked to depressive somatic symptoms, and that certain sociodemographic factors may increase risk. Tailored education, resources, and interventions for high-risk groups are recommended to promo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