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간 주도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재생 사례 고찰 : 나주 ‘마중 39-17’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Study on Privately-Led Complex Cultural Spaces and Local Regeneration : Focused on Majung 39-17 in Naju
발행기관
한국국회학회
저자명
고현정(Hyunjung Go) 김선영(Sun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세계』제7권 4호, 323~3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시 외곽 개발과 산업화는 지역 원도심의 공동화와 쇠퇴를 야기하였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지역 고유 자산과 장소성을 활용한 문화적 도시재생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공공 주도의 물리적 개선 사례에 집중되어 있으며, 민간이 주도하는 공간 기획·운영에 대한 심층 분석은 미비하다. 본 연구는 전남 나주시 원도심에 위치한 민간 복합문화공간 ‘마중39-17’을 사례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 삼중 구조 이론(공간적 실천, 공간의 재현, 재현 공간)을 분석 틀로 적용하여 민간 주도의 문화적 재생 과정과 공간 운영 특성,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을 고찰하였다. 문헌 고찰, 현장 관찰, 기획·운영·이용 주체 7인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공간 생산에 관여한 행위자들의 관점을 다층적으로 수렴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적 실천’ 측면에서는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작동하였으나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는 제한적이었다. ‘공간의 재현’에서는 기획자의 철학과 장소성이 설계에 반영되어 공간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나, 시각적 일관성 부족이 일부 지적되었다. ‘재현 공간’에서는 방문자의 감정과 기억이 공감과 상호작용을 통해 축적되며, 공간은 지역 문화의 정서적 기반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민 참여의 한계와 시각적 일관성 부족, 수익 구조 및 제도적 기반의 미비는 지속 가능성에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자율성과 현장성을 반영한 제도적 지원, 유연한 민관 협력, 실천 기반의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Urban expansion and industrialization have led to the decline of historic city centers, prompting interest in cultural regeneration strategies grounded in local assets and a sense of place. While prior researches have focused on public-led renewal, fewer studies examine privately initiated cultural spaces that reinterpret spatial meaning. This study investigates “Majung 39-17,” a private complex cultural space in Naju, South Korea, using Henri Lefebvre’s spatial triad—spatial practice, representations of space, and representational spaces.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seven stakeholders, the study explores how space is produced and sustained. Findings show Majung 39-17 integrates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workshops, though resident participation is limited. While the planner’s philosophy shaped spatial identity, visual coherence was inconsistent, and emotional engagement fostered shared meaning. Despite its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place, challenges remain due to weak revenue, limited staffing, and lack of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system that supports flexible governance,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autonomous cultural initi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현정(Hyunjung Go),김선영(Sunyoung Kim). (2025).민간 주도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재생 사례 고찰 : 나주 ‘마중 39-17’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 (4), 323-354

MLA

고현정(Hyunjung Go),김선영(Sunyoung Kim). "민간 주도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재생 사례 고찰 : 나주 ‘마중 39-17’을 중심으로." 한국과 세계, 7.4(2025): 323-35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