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omen’s Writing in the 1950s : Focusing on Im Ok-in’s “Sentence Lectures for Femal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미정(Mi-Jung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395~4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1950년대 한국 사회에서 여성 교양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을 통해 구체화 된다. 이 시기 여성 교육은 인격 함양을 위한 보편적 지식 외에도, 사회가 여성에게 기대하는 덕목과 역할이라는 상징체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여성 교육은 당시 시대적 무의식을 발현하는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그 목표를 담은 문장론 교재는 당시 의사소통의 젠더적 재현 양상을 함의한다.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는 기본적으로 언문일치를 목표로 문장의 다양한 상황과 양태를 구체화하는 저서이지만, 동시에 당시 여성을 구현하는 정치적 무의식을 담아낸 교재이다. 이 저서는 작문 교재가 문장론이나 작문 과정의 체계 등 수사학적 갈래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여학생의 언어적 소통상황에 초점을 맞춰 글쓰기 형식이라는 맥락으로 논의를 한정하고 있다. '여학생'이라는 예상 독자를 설정하고 그들에 대한 교육 목표를 전면화하는 과정은 여성 학습자라는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호명하는 전향적 의미와 더불어 대상을 제한하는 한정적인 의미를 동시에 내포한다.
또한, 이 저서는 1950년대 미국식 생활양식을 전제로 하는 ‘현대적 현모양처 모델’과 유사하게 해석된다. 임옥인의 『여학생의 문장강화』는 여성 창작자 혹은 글쓰기 행위자를 부각하면서도 여성의 서술 행위 맥락 수준을 제한하고 여성 교육의 목적에 한계를 설정하고 있다. 저서에 규범화된 지문의 내용은 여성의 고정적인 성적 역할을 구현하는 제한적 정체성을 의미하며 ‘일반’ 혹은 ‘표준’의 글쓰기에 대한 하위 범주로 규정되는 여성 문장론은 여성 학습자의 정체성이 구현되면서 계몽적인 대상으로 차별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임옥인의 저서는 여성 교육의 한계와 보수적인 여성 교육의 헤게모니를 의미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1950s Korean society, the cultivation of women was concretized through education that reflected the demands of the era. During this period, women's education encompassed not only universal knowledge for character building but also a symbolic system of virtues and roles society expected of women. Notably, women's education served as a crucial means of expressing the unconscious biases of the time, and textbooks on writing that embodied these goals implied the gendered representation of communication at that time.
Lim Ok-in's book Sentence Lectures for Female Students is fundamentally a work that aims for the unification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concretizing various situations and forms of sentences. Simultaneously, it is a textbook that embodies the political unconscious that shaped women at the time. Unlike writing textbooks that focus on rhetorical categories such as theories of composition or systematic writing processes, this work limited its discussion to the context of writing forms, focusing on the linguistic communication situations of female students. The process of setting “female students” as the target audience and prioritizing their educational goals simultaneously encompasses a forward-looking meaning that actively calls upon the identity of female learners, as well as a restrictive meaning that limits the target group.
Furthermore, this work can be interpreted as analogous to the 'modern wise mother and good wife model' predicated on the American lifestyle of the 1950s. This suggests that Im Ok-in's work signifies the limitations of women's education and the hegemony of conservative women's education. In conclusion, Sentence Lectures for Female Students, while highlighting female creators or writers, siAbstract multaneously restricts the level of women's narrative context and sets limits on the purpose of women's education. The content of the examples in the book signified a limited identity that embodied women's fixed gender roles, and the women's theory of writing, categorized as a sub-category of 'general' or 'standard' writing, was differentiated as an object of enlightenment as the identity of female learners was realized.
목차
1. 서론
2. 여성적 글쓰기라는 문장강화의 재현 방식
3. 여학생이라는 담론 내용의 위계질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