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Revis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eacher Feedback Types : Focusing on Writing Outcomes and Difficulties of Feedback Uptak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송미진(Mijin Song) 김세연(Seyeon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167~20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쓰기 교육에서 고쳐쓰기는 필자의 사고를 심화하고 글의 질을 향상시키는 핵심 과정이지만, 초등학생은 수정 대상과 방법을 인식하고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고 촉진적 피드백과 교정 중심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고쳐쓰기를 수행한 논증글의 질, 피드백 반영 양상, 피드백 반영에서의 어려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고 촉진적 피드백 집단은 교정 중심적 피드백 집단보다 전반적인 글의 질과 내용·표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수정 과정에서도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반면, 조직 영역을 수정하는 부분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은 교사가 제공한 피드백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큰 어려움을 보고하지 않았으나, 조직 영역과 같은 고차원적 수정에서는 여전히 한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쓰기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 필자 수준에 맞는 교사 피드백 설계와 단계적 지원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유의미한 쓰기 학습을 위해 사고 촉진적 교사 피드백의 역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elementary students’ revision characteristic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teacher feedback. To address this, sixth-grad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ither thinking-promoting or corrective feedback, and their revised argumentative texts were analyzed in terms of overall writing quality, feedback uptake pattern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revision proc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thinking-promoting feedback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overall writing quality as well as in content and expression domains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corrective feedback. They also demonstrated more active and engaged revision behaviors. However, no notabl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rganization domain. While students did not report substantial difficulties in reflecting teacher feedback overall, they continued to face challenges in making higher-order revisions, particularly in text organiz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esigning teacher feedback tailored to students’ developmental levels and suggest the need for stepwise instructional support to foster meaningful writing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교사 피드백과 고쳐쓰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본 연구의 한계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진(Mijin Song),김세연(Seyeon Kim). (2025).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3), 167-203

MLA

송미진(Mijin Song),김세연(Seyeon Kim). "교사 피드백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고쳐쓰기 특성 분석 연구 - 쓰기 결과물과 피드백 반영 어려움을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3(2025): 167-20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