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Structures and Teaching Materials in British Columbia, Canada : Focusing on Information and News Credibility Verification and Media Repres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현선(Hyeon-Seon Je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127~166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신설된 ‘매체’ 영역 도입 이후, 한국 학교 현장에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체계적이고 실제적으로 정착한 역사가 깊은 캐나다 BC주 교육과정 및 공립학교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BC주 영어과 교육과정,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그리고 벤쿠버 공립학교에서 실제 사용된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 단체(CIVIX, Common Sense Media 등)의 교수·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문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BC주는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과 핵심 역량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교과 간 통합적으로 구현하고 있었다.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언어와 텍스트를 개인의 정체성, 사회적 관계, 시민성 형성을 위한 핵심 자원으로 바라보며 비판적 사고, 디지털 시민성, 창의적 제작 활동을 강조하였다. 실제 수업 사례에서도 온라인 정보의 신뢰성 검증, 뉴스와 허위 정보 구분, 강제 원근법을 활용한 창의적 이미지 제작 등 학생 참여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국어과 교육에서도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 명료화, 다양한 교과와의 연계 교육, 창의적 제작과 비판적 성찰 기회 확대,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단순한 기술 활용 능력을 넘어 비판적 사고와 책임 있는 시민성을 중심으로 하는 다층적이고 통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n British Columbia’s (BC) English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public schools to inform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Media’ domain in South Korea’s revised 2022 Language Arts curriculum. Docum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BC’s English curriculum, the Digital Literacy Framework, and teaching resources from specialized organizations such as CIVIX and Common Sense Media. Findings reveal that BC clearly defines digital literacy concepts and integrates these across multiple subjects, emphasizing language and texts as crucial resources for identity formation, social relationships, and civic engagement. Classroom activities involved verifying online information credibility, differentiating reliable news from misinformation, and creating forced perspective images. Recommendations for Korean education include clarifying core media literacy concepts, expanding integrated instruc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reative produ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and strengthen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Ultimately,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must prioritize critical thinking and responsible civic engagement beyond technical skills.
목차
1. 서론
2. 캐나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특징
3. BC주 영어과 교육과정과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4. BC주 학교 현장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자료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