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이용수 46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for Enhancing AI Literacy amo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in a Pre-University Program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슬이(Seulee Lee) 방담이(Dami Bang) 이상민(Sangmin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3호, 73~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를 개발하고 이를 예비 대학에서 운영함으로써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I 리터러시의 세 차원인 태도, 기술, 지식적인 차원을 고려하여 15차시의 플립러닝 교과를 개발하였다. 31명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예비 대학에서 강좌를 운영하였으며, 이후 AI 리터러시 요구도 조사 및 교육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신입생의 AI 리터러시 교육 요구도 파악을 위해 학생이 인식하는 수행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여 IPA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교육 만족도 조사는 온라인, 오프라인 수업 만족도와 전반적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AI 리터러시의 하위 영역 중 비판적 평가와 실무적 적용이 IPA 분석 결과 유지강화구간으로 분류되었고, 교육 만족도 조사 결과 온라인 강의에 비해 오프라인 강의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입생 대상 AI 리터러시 함양 교과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rriculum aimed at enhancing AI literacy amo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o derive pedagogical implications by implementing it in a pre-university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developed a flipped-learning course comprising 15 sessions, considering three dimensions of AI literacy: attitude, skills, and knowledge. The course took place in a pre-university program with 31 first-year students. After the course, the researchers conducted surveys on students’ perceived needs for AI literac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To identify students’ needs, the researchers conducte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ased on students' perceived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s. The researchers measured educational satisfaction by evaluating satisfaction with online sessions, offline sessions, and overall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ub-dimensions of critical appraisal and practical application were classified as “keep-up-the-good-work” areas in the IPA matrix. Additionally, satisfaction with offline sessions was higher compared to online ses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urses aimed at fostering AI literacy amo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슬이(Seulee Lee),방담이(Dami Bang),이상민(Sangmin Lee). (2025).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리터러시 연구, 16 (3), 73-98

MLA

이슬이(Seulee Lee),방담이(Dami Bang),이상민(Sangmin Lee).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신입생 대상 교과 개발 및 예비 대학에서의 운영 성과." 리터러시 연구, 16.3(2025): 73-9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