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udit Partner’s Quarterly/Semi-annual Review Hours and Audit Report Lag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윤용석(Yongsuk Yun) 김현아(Hyun Ah Kim)
- 간행물 정보
- 『재무와 회계정보저널』제25권 제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는 회계개혁 후 기간에 대해서도 감사파트너의 분·반기 검토시간 비중과 감사보고시차 간의 관련성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파트너의 업무 부담과 경력이 미치는 영향을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회계개혁 관련 제도가 모두 적용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상장된 4,874기업-연도를 표본으로 구성하였으며, 감사파트너 분·반기 검토시간 비중은 감사파트너의 총 감사시간 중 분·반기 검토시간으로 측정하였고, 감사보고시차는 감사보고서 제출일과 결산일의 차이의 자연로그 값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감사파트너 분·반기 검토시간 비중과 감사보고시차 간에 유의한 (-)의 관련성이 관찰되었으나, 유의한 결과는 non-Big4에 대해서만 유지되었다. 한편 등록회계사의 분·반기 검토시간 비중은 Big4여부에 관계없이 감사보고시차와 유의한 음(-) 관계를 보였으나, 스태프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on-Big4의 결과가 파트너의 영향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파트너의 업무 부담과 경력을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업무 부담이 적고 경력이 긴 파트너에 대해서만 유의한 음(-)의 관련성이 유지되었다. 이는 회계개혁의 영향이 Big4와 non-Big4에 차별적임을 의미하며, Big4의 유의하지 않은 결과는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으로 감사시간의 표준화 수준이 높아졌음을 나타낸다. non-Big4 파트너에 대한 유의한 결과는 회계개혁이 non-Big4 파트너가 분·반기 활동을 통해 감사효율성에 기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을 시사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회계개혁 후 감사파트너의 감사팀에 대한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존재하며, non-Big4의 파트너가 감사효율성에 기여하기 위한 조건으로 파트너 업무 부담과 경력을 제시함으로써 non-Big4의 감사효과 증대를 위해 파트너 중심의 모니터링의 필요함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an audit partner’s quarterly/semi-annual review hours and the audit report lag persists in the post-accounting reform era. It further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partner’s workload and experience.
[Methodology]The sample consists of 4,874 firm-year observations of listed companies from 2020 to 2022, a period when all measures related to the accounting reform were fully implemented. The proportion of an audit partner’s quarterly/semi-annual review hours is measured as the ratio of these review hours to the partner’s total audit hours. The audit report lag is calculated using the natural logarithm of the difference in days between the fiscal year-end and the audit report date.
[Findings]The analysis reveals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proportion of an audit partner’s quarterly/semi-annual review hours and the audit report lag, a result maintained only for non-Big 4 firms. This effect in non-Big 4 firms was driven by partners with lower workloads and longer experie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accounting reform’s impact was differential, leading to increased standardization of audit hours at Big 4 firms while allowing experienced non-Big 4 partners to enhance audit efficiency.
[Implications]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shedding light on the influence of audit partners on their audit teams post-accounting reform. Furthermore, by identifying partner workload and experience as key conditions for non-Big 4 partners to enhance audit efficiency,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partner-centric monitoring to improve the audit effectiveness of non-Big 4 firm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표본구성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