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Applicability to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Legal System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 Education Act(IDEA) in U.S.
- 발행기관
- 한국장애학회
- 저자명
- 이황원(Hwa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학회지』제9권 제2호, 127~1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하 특수교육법)의 개별화교육제도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기 위해서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이하 IEP) 제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국 IDEA 및 오레곤(Oregon) 주의 특수교육에 관한 행정규정을 검토하고, 이를 한국의 특수교육법 및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 진흥 조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미국 IDEA에서는 IEP는 적절한 무상공교육(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을 실현하기 위한 법적 권리로 인식되는 경향을 있는 반면에 한국의 특수교육법에서 개별화교육계획은 무상공교육의 실현을 위한 계획(Plan)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장애아동과 부모의 권리보호를 위해서 한국정부는 특수교육법에 국가가 장애아동의 ‘적절한’ 무상공교육의 권리를 보장한다는 규정을 마련하고, 개별화교육계획을 법적 권리로 인정하는 법제도의 개선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이러한 장애아동의 법적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 절차적 보호조항을 정교하게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mprovement Education Act(IDEA) in U.S. to draw implications to improve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ystem of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Special Education Act) in Korea. To this end, IDEA and the administrative rules on special education in Oregon state of U.S., were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the Special Education Act of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Ordinance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the IDEA, IEP tends to be characterized as a legal right to realize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while in Korea's Special Education Act,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is recognized as a written plan for the realization of free public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legal righ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aren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tipulate in the Special Education Act that the state guarantee the right of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nsider the reform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o be not a simple written plan but a substantive statements for legal righ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elaborate procedural safe guards to realize these legal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