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권변동에 따른 공직동기–조직몰입 관계의 구조적 변화: 대통령 탄핵과 적폐청산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tructural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der Political Transitions: Focusing on the Periods of Presidential Impeachment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박순애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4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이라는 정치적 전환기를 중심으로, 정권 변동이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조직몰입에 미치는 공직동기(국가에 대한 충성심과 국민에 대한 봉사심)의 영향이 정치적 환경 변화에 따라 어떤 구조적 변화를 보이는지 비교하기 위해, 2016년과 2018년 중앙공무원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및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초통계분석 결과, 조직몰입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열의 및 직무만족 항목에서는 2018년에 유의미한 하락이 확인되었다. 또한, ‘국민에 대한 봉사’와 ‘업무량’ 항목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2016년에는 공직동기, 직무만족, 직무열의, 조직몰입 간 경로가 모두 유의미한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나, 2018년에는 공직동기의 조직몰입에 대한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오히려 부(-)의 방향을 보였다. 반면 직무만족과 직무열의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상대적으로 강화되었으며, 다중집단분석에서도 두 시점 간 유의미한 구조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직무만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2018년에 더욱 확대되었으며, 이는 정권변동기에 직무 관련 심리적 요인이 조직몰입 형성에 보다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정권교체에 따른 제도적 불확실성과 정치적 긴장감이 공무원의 심리적 안정성과 몰입 구조에 실질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적폐청산 등 정권이양기의 과도한 정치적 통제는 공직에 대한 사명감과 조직에 대한 충성심 약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구성원들은 내부에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소극적 순응이나 이탈의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정치적 변화가 공직자의 동기와 조직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정권이양기 공무원의 심리적 안정과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impact of political transitions—specifically, the impeachment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and the anti-corruption reforms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on civil serva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data from the 2016 and 2018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 Surveys,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influence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defined as commitment to the nation and dedication to the public—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nged under differing political environm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are these effects across time.Descriptive statistics indicate that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remained above average; however, job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declined in 2018.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items related to public commitment and perceived workloa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show that, in 2016, PSM had a strong and positive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and job engagement. In contrast, in 2018, the direct effect of P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even showed a negative direction. Indirect effects through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however, became more pronounced. Multiple group analysis confirmed significant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iods, with job satisfaction exerting a stronger influence on job engagement in 2018.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played a more critical role in shap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during political transitions.The results imply that institutional uncertainty and heightened political tension during regime change can substantially impac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mitment structures of public officials. In particular, excessive political control—such as that exercised during anti-corruption campaigns—may undermine public servants’ sense of mission and loyalty to their organizations, potentially leading to passive compliance or disengagement rather than active voic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political change on public servants’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response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olicy strategies that mitigate psychological stress and ensure organizational stability during regime transi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모형 및 설문자료 수집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 정책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애. (2025).정권변동에 따른 공직동기–조직몰입 관계의 구조적 변화: 대통령 탄핵과 적폐청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4 (2), 1-22

MLA

박순애. "정권변동에 따른 공직동기–조직몰입 관계의 구조적 변화: 대통령 탄핵과 적폐청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4.2(2025): 1-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