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Design Strategies for an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in Small-Sized Universities: A Case Study of University A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육진경(Jin-Kyoung Youk) 이훈병(Hun-Byoung Lee) 이석열(Suk-Yeol Lee) 오세원(Se-Won Oh)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4권 제2호, 109~1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규모 대학의 현실적 제약을 고려하여 전공자율선택제의 효과적인 설계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고, A대학의 실행 사례를 통해 실천적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38명과 소규모 대학 구성원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하고, 개방·축·선택 코딩을 통해 핵심 설계 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자율선택제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전문가와 소규모 대학 구성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소규모 대학 맥락에서 전공자율선택제는 단순한 전공 유예가 아닌 학생의 진로 탐색과 전공 선택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구조적 설계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도출되었다. 특히 전공 정보 제공의 체계화, 교수자 협업 기반의 상담 체계, 진로탐색 기회의 조기 집중 제공 등은 제도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요소로 인식되었다. 둘째, 소규모 대학의 제한된 자원과 조직 구조 속에서 전공자율선택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으로는 전공 정보 통합 제공, 교수자 협업 기반 자문 체계, 입학 초기 진로탐색 집중화, 성과 기반 전공 배정 운영, 집중형 비교과 체계 등 다섯 가지 설계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 전략들은 자원 최적화와 실행 가능성 확보를 핵심으로 하며, 실제 대학 사례를 통해 실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공자율선택제를 단순한 제도 도입이 아닌, 설계–운영–성과의 통합 구조로 접근하여 소규모 대학에서도 지속 가능한 학사혁신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strategie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an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AMSS) tailored to the constraints of small-sized univers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8 experts and 10 university members, and key ele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ding.
Findings indicate that AMSS in small universities should structurally link career exploration and major selection, rather than merely deferring decisions. Five key strategies were identified: integrated major information, faculty-based advising, early career exploration, performance-based major assignment, and intensive co-curricular support. These approaches emphasize resource optimization and feasibility.
The study suggests that with integrated design–operation–outcome structures, sustainable academic innovation is possible even in resource-limited institutions.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similar universities seeking to implement AMSS eff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