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and Transmission of Mok-u Ga-pung : Focusing on Exchanges in Buddhist Spiritual Culture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저자명
- 김성식(Seng-Sik Kim)
- 간행물 정보
- 『보조사상』第71輯, 131~16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의 심각한 내·외부적 갈등(정치적 양극화, 경제적 불평등, 세대 및 젠 갈등, 저출산·초고령화 등)과 불안정한 국제 정세 속에서, 고려 말 보조지눌의 정혜결사 정신과 목우가풍이 지닌 평화 구축 가능성의 심층적 탐구이다. 특히, 보조의 활동을 갈등 전환의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종교 지도자, 종교 정책의 실무자 등이 종교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관한 담론이며, 동시에 대내·외적으로 갈등과 분쟁에 따른 종교의 역할이 무엇인지 지속적인 논쟁과 관련한다.
스위스 취리히 보안 연구 센터(CSS)의 프레저와 프리드리(Owen Frazer and Richard Friedli)의 연구에서 제시된 종교의 5가지 기능적 프레임워크(공동체, 가르침, 영성, 실천, 담론)를 분석 틀로 활용하여, 보조지눌의 정혜결사와 목우가풍이 이러한 프레임워크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갈등 해소와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목우가풍이 종교가 사회적 갈등에서 단순히 ‘분열자’가 아닌, 평화를 위한 ‘연결자’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임을 나타낸다.
아울러, 20세기 근현대사에 걸쳐 교단과 사회공동체가 심각한 위기에 처할 때마다 한국불교는 새로운 정혜결사의 형태로 등장하여 갈등 해소와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이는 오늘날 종교 지도자, 수도자 등이 교단과 국가 공동체에 있어 종교가 ‘무엇을 하는가’를 돌아보게 한다. 이러한 보조의 결사 정신을 재조명하고, 그 정신적·문화적 유산은 사회공동체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 다양한 종교적 역할로 계승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lves into the potential of the Jeong-Hye Gyeol-sa (定慧結社) spirit and Mok-u-ga-pung (牧牛歌風) of the late Goryeo dynasty to build peace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which is grappling with sever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political polarization, economic inequality, generational and gender conflicts, low birthrate and super-aged society) and an unstable international situation. Specifically, by reinterpreting Bojo Jijul's (普照知訥) activities within the context of conflict transform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surrounding how religious leaders and practitioners of religious policy should approach religion, and simultaneously engages in ongoing discussions about the role of relig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flicts and disputes.
Utilizing the five functional frameworks of religion (community, teachings, spirituality, practice, discourse) proposed by Owen Frazer and Richard Friedli's research at the Center for Security Studies (CSS) in Zurich, Switzerland, this analysis explores how Bojo Jijul's Jeong-Hye Gyeol-sa and Mok-u-ga-pung align with these frameworks and contribute to conflict resolution and social integration. This demonstrates that Mok-u-ga-pung serves as a crucial example of how religion can function not as a mere “divider” in social conflict, but rather as a “connector” for peace.
Furthermore, throughout the 20th and early 21st centuries, whenever Korean Buddhism faced critical crises within the religious order and broader society, new forms of Jeong-Hye Gyeol-sa emerged, contributing to conflict resolution and social cohesion. This prompts reflection among religious leaders and practitioners on the role of religion within the religious order and the national community. This paper revisits Bojo's spirit of communal practice, arguing that its spiritual and cultural legacy should be inherited and developed through diverse religious roles to foster harmony and integration within the commun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목우가풍의 갈등 전환과 평화 구축 방안
Ⅲ. 목우가풍의 현대적 의의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