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seudoglandular Hyperplasia of the Conjunctiva: The First Case Report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동규(Dong Kyu Kim) 김태은(Tae Eun Kim) 백승학(Seunghak Baek) 전희정(Heejeong Chun) 전승희(Seung Hee Jeon) 윤준명(Jun Myeong Yun) 김용찬(Yong Chan Kim) 임혜빈(Hye Bin Yim) 황형빈(Hyung Bin Hwa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7, 311~314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15
국문 초록
목적: 결막의 가성 샘종성 증식증을 국내 최초로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17세 남자가 우안 결막덩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7년 전부터 우안 결막의 이측 부위에 붉게 색 변화가 있었고, 12세경 우안에 모래가 들어간 과거력이 있었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결막에 영양 혈관을 동반한 경계가 불명확한 살색-붉은 빛의 종양이 관찰되었다. 이에 절제생검을 진행했고, 조직검사에서 고유질층에 둥글고 막대모양의 샘들이 관찰되었으며 핵 이형성은 없었다. 또한, 주변에는 림프구응집체와 호산구가 관찰되어 만성염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결막종양 절제 후 2개월째까지 환자는 재발 없이 안정적인결막 상태를 유지하였다.
결론: 가성 샘종성 증식증은 인체 어디에서든 발견될 수 있는 정상 샘종성 세포의 양성 증식증으로, 침윤성 샘암종과 육안적으로 유사하여 감별에 주의해야 한다. 본 증례는 결막에서 발견된 가성 샘종성 증식증의 국내 첫 보고로, 조직검사에서 고유질층에 둥글고 막대모양의 샘들이 술잔세포를 포함한 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했다. 핵 이형성이 없어서 침윤성 암종과 감별할 수 있었고, 양성병변이라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예후를 예측하고 근치적 절제가 추가로 필요한지 판단을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the first domestic case of pseudoglandular hyperplasia of the conjunctiva.
Case Summary: A 17-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conjunctival mass in his right eye. At age 12, he had experienced sand entering his right eye; since then, the temporal region of the conjunctiva in that eye had become reddish. Slit-lamp examination revealed a salmon-colored patch with ill-defined margins and several feeding vessels on the conjunctiva. The mass was excised; histologic examination revealed round and tubular glands within the lamina propria. There was no evidence of nuclear dysplasia but surrounding lymphoid aggregates and eosinophils indicated chronic inflammation. Two months after the excision, there was no recurrence and the conjunctiva remained stable.
Conclusions: Pseudoglandular hyperplasia is a benign proliferation of normal adenomatous tissue that can occur throughout the human body. It requires careful diagnosis because of its resemblance to invasive adenocarcinoma. This report is the first documented case of pseudoglandular hyperplasia in the conjunctiva in South Korea. Histological analyses showed that glands lined with squamous epithelium containing multiple goblet cells were present in the lamina propria. The absence of nuclear dysplasia confirmed the benign nature of the lesion enabling accurate prognostic prediction and informed decisions regarding the need for further radical excision.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